산업 기업

삼성SDI 'ESS 화재 불안' 불씨 끈다

"2,000억 들여 소화시스템 구축"

'산업 생태계 복원' 안전대책 내놔

배터리에 '열확산 차단재' 부착도

허은기 삼성SDI 전무가 14일 서울 태평로빌딩에서 열린 ‘에너지저장장치(ESS) 안전성 강화 대책’을 발표하며 ESS 모듈과 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허은기 삼성SDI 전무가 14일 서울 태평로빌딩에서 열린 ‘에너지저장장치(ESS) 안전성 강화 대책’을 발표하며 ESS 모듈과 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삼성SDI(006400)가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를 막기 위해 최대 2,000억원을 들여 ESS 배터리 안전성을 강화한다. 배터리 제조사에서 국내 ESS 화재 사고 관련 안전 대책을 내놓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 6월 정부·민간 합동 조사 결과 삼성SDI의 배터리 셀에는 문제가 없다는 결론이 나왔지만 선제 대응으로 무너진 국내 ESS 생태계를 복원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1515A12 국내ESS시장규모


삼성SDI는 14일 서울 태평로빌딩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ESS 화재를 예방하기 위한 1단계 안전성 강화 조치가 이달 중 마무리된다고 밝혔다. 삼성SDI는 지난 1년간 자사 ESS 배터리가 설치된 국내 전 사이트를 대상으로 △외부 전기적 충격으로부터 배터리를 보호하기 위한 3단계 안전장치 설치 △배터리 운송·취급 과정에서 충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센서 부착 △ESS 설치·시공상태 감리 강화와 시공업체에 대한 정기교육 실시 △배터리 상태(전압·전류·온도 등)의 이상 신호를 감지해 조치할 수 있는 펌웨어 업그레이드 등을 진행해왔다.

이와 관련, 허은기 삼성SDI 전무는 “삼성SDI는 배터리 공급 업체이지만 ESS에서 배터리 외 전력변환장치나 시공·설치·운영 과정 등에서 문제가 발생해도 배터리에서는 화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종합 대책”이라고 설명했다.


나아가 삼성SDI는 예기치 않은 요인으로 ESS 내 발화현상이 발생하더라도 화재가 커지지 않도록 특수 소화시스템을 개발했다. 삼성SDI의 한 관계자는 “이 시스템은 첨단 약품과 신개념 열 확산 차단재로 구성돼 특정 셀이 발화한다고 하더라도 바로 소화하고 인근 셀로 확산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다”면서 “이 시스템으로 미국 국제 인증기관인 UL의 최근 강화된 테스트 기준을 만족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삼성SDI가 대대적인 안전 조치를 발표한 것은 ESS 화재로 국민과 고객을 불안하게 해서는 안 된다는 최고경영진의 강력한 의지가 작용했기 때문이다. ESS 산업이 새로운 먹거리로 떠오르던 상황에서 화재 사고로 관련 생태계가 급속히 무너진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화재 발생 이후 국내 ESS용 배터리 출고는 1건도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삼성SDI는 글로벌 ESS 업계 선두 업체로서 이미 설치·운영 중인 국내 1,000여개 사이트의 안전 종합 대책 비용까지 자체 부담하기로 했다. 권영노 삼성SDI 최고재무책임자(CFO) 부사장은 “각 사이트마다 운영 상황이 달라서 정확한 소요 비용을 산출하기 어렵지만 대략 1,500억~2,000억원이 들 것으로 예상한다”며 “4·4분기 이후 이러한 비용이 실적에 반영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삼성SDI는 전담팀을 구성해 가용한 모든 자원을 투입하고 최단 기간 내 해당 조치를 완료하기로 했다. 임영호 삼성SDI 부사장은 “1단계 조치가 완료되는 10월 이후부터 같은 요인의 화재는 막을 수 있다고 판단한다”면서 “함께 개발한 특수 소화시스템 설치를 신속히 전개해 국내 ESS 안전에 대한 우려가 조금이나마 가시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박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