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인 아마존의 일본법인인 아마존재팬이 지난해 150억엔(1,590억원)의 법인세를 납부했다고 보도했다.
아마존재팬은 정보공개 의무가 적은 합동회사로 전환해 정확한 납세액 추이가 알려지지 않았지만 합동회사로 전환하기 전 유일하게 실적이 공개된 지난 2014년 법인세 규모가 11억엔인 점을 감안하면 4년 새 10배 이상 늘었다. 2014년 79억달러를 기록한 아마존의 일본사업 매출액은 지난해 138억달러로 70% 증가했다. 신문은 아마존재팬의 법인세 규모가 일본 편의점 기업인 로손(143억엔)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일본에서 아마존의 납세액이 급격히 늘어난 것은 일본 내 판매액을 일본법인인 아마존재팬의 매출에 계상하기로 방침을 바꿨기 때문이다. 이전에는 일본 내 판매로 발생하는 매출을 미국법인의 실적으로 처리해 일본법인의 수익을 낮춰 세금이 적게 나오도록 했었다.
아마존이 일본에서 세금을 더 내기로 한 것은 IT 기업의 조세회피를 막기 위한 국제사회의 디지털세 과세 논의를 먼저 수용해 각국 정부의 반발을 줄이기 위한 포석으로 보인다. 현재 일본 상장기업의 실적 대비 납세비율 평균은 28%에 달하지만 미국 IT 기업은 10%대에 머물고 있다.
이 같은 움직임은 아마존뿐 아니라 구글과 페이스북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구글은 올 4월부터 주력인 광고사업에서 일본 내 광고는 일본법인이 직접 계약을 맺도록 했다. 이전에는 일본 내 광고는 싱가포르법인에서 체결해 일본 이외 수익으로 잡혔다.
페이스북도 일본 등 미국 이외의 매출을 세율이 낮은 아일랜드법인에 계상하던 것을 2017년 12월 미국 본사가 “앞으로는 각국에 납세할 것”이라는 방침을 밝히며 세금정책의 변화를 예고했다. 아마존은 9월 영국에서 납세 규모를 자진해서 공표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