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中압박에 일감 끊겨도 고용유지...현지진출 中企 "더는 못버텨"

경직된 고용시스템에 감원 못해

가동률 반토막나도 월급 정상지급

자금난 심화로 中공장 정리 속출

정부 "中企에 추경 1.6조 투입"

중소기업들이 코로나19 사태로 안팎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중국 진출 기업들은 공장 가동률 하락에 인건비 부담까지 겹쳐 설상가상이다. 사진은 국내 경기도에 위치한 한 제조업체 모습. /서울경제DB중소기업들이 코로나19 사태로 안팎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중국 진출 기업들은 공장 가동률 하락에 인건비 부담까지 겹쳐 설상가상이다. 사진은 국내 경기도에 위치한 한 제조업체 모습. /서울경제DB



중국에 현지 공장을 둔 국내 중소기업들이 50% 안팎의 낮은 가동률과 직원 복귀율에도 불구하고 정상 임금을 지급하고 있다. 매출 급감에도 중국 당국의 압박에 감원 등은 꿈도 못 꾸면서 속 앓이 하는 기업이 속출하는 양상이다. 중국의 경직된 고용 시스템이 또 한 번 기업의 발목을 잡으면서 동남아 등으로 중국 공장 이전을 결정하는 기업도 하나둘 나오고 있다.

4일 중소기업계 등에 따르면 중국 현지 진출 기업의 자금난이 심각하다. 코로나19에 따른 중국 내수 시장 부진이 1차 원인이지만, 일감 급감과 직원의 낮은 업무 복귀율에도 구조조정은커녕 임금은 정상 지급하면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실제 한국콜마의 베이징 공장의 경우 가동률은 50% 미만, 직원 출근율은 70% 수준이다. 그럼에도 ‘울며 겨자 먹기’로 직원 월급은 여느 때와 같이 정상 지급하고 있다. 서슬 퍼런 중국 당국에 구조조정은 생각하기도 어렵다는 게 기업들의 호소다. 한 중견기업 임원은 “바이러스 진원지인 우한에 격리돼 있는 직원까지도 본봉의 80% 수준인 최저임금을 줄 정도”라며 “답답한 것은 중국기업들은 당국 제지에도 불구하고 대량 해고에 나서고 있고 당국도 눈감아 주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다른 기업의 사장은 “한국의 노동 경직성을 피해 중국으로 왔더니 코로나19 폭탄에 갇혀 버렸다”고 울분을 토했다.


중국 현지 기업들은 “2월은 그럭저럭 견뎠지만, 3~4월로 바이러스 사태가 장기화되면 자금난이 불가피하다”고 입을 모은다.

관련기사



한 업체의 임원은 “원활하지 못한 중국 물류 시스템에 따른 원부자재 조달 차질, 소비 절벽으로 인한 수요 급감으로 구조조정 없이는 버티기 어렵다”며 “대출 만기 상환을 앞둔 기업이라면 2월 한 달 인건비 지급도 버거울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 식품포장기계 업체는 최근 내부적으로 중국 공장 정리를 결정했다. 이 회사 사장은 “올해 중국 법인을 정리해 베트남으로 옮기기로 했다”며 “지난 2월 단 하루도 일하지 않는 중국 기계공 40명에 월급을 정상지급하면서 자괴감에 빠졌고 결국 공정 이전을 결심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중소벤처기업부도 코로나19 피해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추경 예산안 1조 6,858억원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지원의 대부분인 1조 5,103억원은 긴급자금 공급, 보증지원 등 금융지원 예산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매출 절벽으로 파산 지경인 서비스업 등 소상공인 경영안정자금에 9,200억원이 치중되다 보니, 기업 긴급경영안정자금에는 3,000억원 배정에 그쳤다. 국내외 기업에 지원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정부는 아울러 온누리 상품권 발행 등 경제활력 예산 1,755억원을 배정하고, 대구·경북 지역 기업에 대한 금융(3,616억원) 우선 지원에도 나선다.

이상훈·연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