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건강 팁] "코골이는 코에서 나는 소리가 아니다"

김동현 인천성모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코골이 환자는 성인 10명 중 평균 3∼4명꼴로 많은 편이다. 2004년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 참여자 자료를 분석했더니 수면다원검사에서 남성 27%, 여성 16%가 코골이로 확인됐다. 3~12세 아이들은 평균 4~5명 중 1명꼴로 나타난다.

코골이는 기도 내 기류가 여러 원인으로 좁아진 기도를 지나면서 늘어진 목젖, 혀, 입천장, 인두 등 입이나 목 안의 구조물이나 주위 구조물에 진동을 일으켜 발생하는 호흡 잡음이다.




코골이 원인인 비중격만곡증(왼쪽부터), 편도 비대, 늘어진 목젖을 찍은 CT컴퓨터단층촬영) 영상.코골이 원인인 비중격만곡증(왼쪽부터), 편도 비대, 늘어진 목젖을 찍은 CT컴퓨터단층촬영) 영상.



◇코골이는 ‘호흡 잡음’… 1/3은 수면무호흡증 동반

코골이는 대인관계 뿐만 아니라 본인의 건강에도 상당한 문제를 초래한다. 보통 ‘코 고는 소리에 아내가 같은 방에서 잠을 자지 못한다’ ‘자고 일어나도 개운하지 않고 두통이 있다’ ‘낮에도 졸려 일·운전에 방해가 된다’ 같은 증상을 호소한다.

잠을 자다 자주 깨고 몸을 많이 뒤척이거나 땀을 많이 흘리며 숨이 막힐 것 같은 느낌을 가질 수도 있다. 기억력·판단력·집중력 감소, 성격 변화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심장·폐에 부담을 줘 고혈압 등 심혈관계 질환을 일으킬 수도 있다.

코를 고는 사람의 1/3 이상은 수면무호흡증을 동반한다. 수면무호흡증이 매일 밤 되풀이되면 낮 동안 심한 졸림증·피로감을 느끼고 종종 교통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최근 코골이나 수면무호흡이 기억력 저하 뿐만 아니라 사물을 인식하는 능력에도 장애를 유발한다는 연구결과가 국내외 여러 학회에서 보고되고 있다.


코골이의 생리적 원인은 노령, 호르몬 이상, 비만 등이다. 그중 비만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부학적 원인으로는 코 저항을 증가시키는 여러 코 질환, 소아의 경우 아데노이드 증식증과 구강 인두점막의 비후 등이 있다. 또한 연구개(입천장 뒤쪽의 연한 부분인 물렁입천장)가 늘어져 있거나 편도선이 커져 있는 경우처럼 기도의 해부학적 이상이 원인일 수 있다. 흡연·음주·항히스타민제나 진정제 같은 약물 복용 등이 유발인자다.

관련기사



김동현 인천성모병원 이비인후과 교수김동현 인천성모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체중감소·수면자세 등 생활습관 개선 중요

코골이를 진단하려면 호흡에 관여하는 코·목·편도 등에 관한 철저한 검사가 필요하다. 우선 코 안의 용종(물혹), 코 물렁뼈가 휜 비중격만곡증, 만성 비염, 편도 비대증, 혀가 큰 대설증 같은 구조적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이어 비만 정도를 관찰하고 합병증과 관련 있는 고혈압·부정맥 등 심혈관계에 대한 검사를 한다. 치료 방침을 정하려면 내시경·X-레이·CT(컴퓨터단층촬영) 검사 등을 통해 폐쇄 부위를 정확히 확인하는 게 중요하다.

아울러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을 진단한다. 수면다원검사는 병원에서 하룻밤을 자면서 뇌파·근전도·호흡·심전도·안전도 등을 측정한다. 시간당 무호흡·저호흡이 몇 회나 되는지, 중증도는 어느 정도 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낮에 과도하게 졸리고 잠이 들거나 깰 때 환각·수면마비 같은 증상을 보이는 기면증 등 다른 수면질환이나 부정맥 진단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코골이·수면무호흡증은 한 가지 원인만으로 생기는 경우는 드물다. 체중감소를 위한 규칙적 운동, 수면자세, 금주·금연 등 생활습관 개선이 가장 중요하다. 최근에는 혀끝을 입천장에 대고 혀를 뒤쪽으로 밀거나 목젖을 울리면서 ‘아’ 소리를 내는 구강인두훈련을 매일 했을 때 코골이가 36% 감소했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경우에 따라 항우울제나 프로게스테론 같은 약물치료를 할 수 있다. 양압기나 입 안에 마우스피스처럼 끼는 구강내 장치의 도움을 받을 수도 있다. 코골이나 수면무호흡증이 발생한 부위의 일부를 수술로 제거하거나 근육·점막의 떨림을 줄이는 방법도 있다.

코골이를 예방하려면 취침 전 식사를 가급적 삼가고 금주·금연, 적절한 운동, 체중관리 등 건강한 수면에 도움이 되는 생활습관 개선이 중요하다. /김동현 인천성모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김동현 인천성모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