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글로벌아이]시진핑 "당이 통제" VS 리커창 "시장 주도"...경제정책 엇박자 행보

■'노점경제'로 다시 부각된 시진핑-리커창 경쟁관계

국가주석 놓고 다퉜던 習-李

경제철학에서도 큰 차이 보여

李 "10만개 일자리 만들었다"

최근 '노점경제' 세일즈 나서자

習측근은 "노점상 단속" 맞대응

주요 사안마다 충돌 지속 가능성




중국에서 불붙은 ‘노점경제’ 논란이 리커창 총리와 시진핑 국가주석의 10여년에 걸친 경쟁관계를 다시 부각시키고 있다. 한때 최고권력을 다투기도 한 이들은 여전히 충돌 여지를 열어두고 있다. 시진핑 방식의 정책이 경제위기를 초래했다는 비판에 대한 리커창의 발언권이 커지면서다.

발단은 최근 리 총리의 노점경제 추진이다. 리 총리는 지난달 28일 전국인민대표대회 폐막 기자회견에서 “중국인 6억명의 월수입은 겨우 1,000위안(약 17만원)”이라면서 “노점경제가 서부의 모 도시에서 일자리 10만개를 만들었다”고 주장했다. 리 총리는 이어 이달 1일 산둥성에서도 노점경제를 ‘세일즈’했다.


그런데 며칠 만에 상황이 꼬였다. 시 주석의 핵심 측근인 차이치가 당서기로 있는 베이징시에서 6일 노점상의 불법행위를 단속하겠다고 발표한 것이다. 이어 관영매체들도 일제히 노점경제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2인자에 대한 비판이 1인자 몰래 이뤄졌다고 보기는 어렵다. 관영 신화통신에서 이달 초 하루 수십 건씩 올라왔던 노점경제 관련 기사는 7일 이후 뚝 끊겼다.

노점경제에 대한 논란은 시 주석과 리 총리 간 경제철학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두 사람은 지난 2007년에 함께 중국 공산당 정치국 상무위원이 된 후 1인자인 공산당 총서기 겸 국가주석 자리를 두고 경쟁했다. 후진타오 전 국가주석은 측근인 리커창을 밀었지만 2012년 공산당 전국대표대회와 2013년 전인대에서 시진핑이 결국 대권을 차지했다.


기본적으로 리 총리는 시장경제 요소를 확대해 보다 자율적인 경제환경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노점경제 같은, 상대적으로 아래로부터의 개혁이다. 이는 ‘리커노믹스’로 불린다. 반면 시 주석은 공산당이 강력히 통제하는 위로부터의 개혁을 주장했다. 이른바 공급 측 개혁이다. 2014년에 벌써 리커노믹스에 대한 이야기는 사라졌다.

관련기사



한때 10%를 웃돌던 중국 경제성장률은 2013년 7%대로 떨어졌다. 이에 시 주석은 원래 총리 관할인 경제 분야에까지 관여하며 중앙전면심화개혁영도소조 등을 만들었다. 심지어 미중 무역협상도 시 주석의 측근인 류허 부총리가 담당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무역협상에 대해 류 부총리는 직속상관인 리 총리에게 자세히 보고하지도 않았다”고 전했다.

단순히 ‘고급관료’ 취급을 받던 리 총리에게 미중 무역전쟁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등으로 인한 경기둔화는 기회가 됐다. 지난해 3월 리 총리가 전인대 개막식에서 경기부양책을 공개했을 때 큰 환호가 터져나왔다. 당시 니혼게이자이신문 등 외신들은 “리 총리가 1시간40분의 정부 업무보고에서 50여차례 박수를 받는 동안 시 주석은 내내 얼굴을 찡그리고 있었다”고 보도했다.

결국 올해 들어 문제가 터진 셈이다. ‘6억명의 소득이 1,000위안’에 불과할 정도로 경제가 나쁘다는 리 총리의 발언이 시 주석의 트레이드마크인 ‘전면적 샤오캉(小康·모든 국민이 편안하고 풍족한 생활을 누림) 사회 실현’을 부정하는 듯이 들리면서 1인자의 불만이 커진 것 같다.

물론 공산당과 국가가 강력히 통제하는 현행 경제정책이 앞으로도 바뀔 것 같지는 않다. 그렇다고 리 총리가 입을 다물고 있을 리도 없다. 1인자에게 한참 떨어지는 2인자지만 그래도 정권의 ‘대주주’이기 때문이다.

/베이징=최수문특파원 chsm@sedaily.com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