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7일 ‘경제’를 화두로 당권 도전을 선언했다. 이 의원이 출사표를 던지며 176석 거대 여당은 전격적인 전당대회 국면에 돌입했다.
이 의원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경제를 회생시키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신산업을 육성해 고용을 창출하며 청년층 등 국민께 희망을 드리기 위한 ‘경제입법’을 서둘러야 한다”며 당 대표 출마를 선언했다. 그는 21대 국회의 과제로 경제·사회·개혁 입법과 한반도 평화, 일하는 국회 등 다섯 가지를 꼽으면서 이 가운데 ‘경제’를 첫번째로 내세웠다.
이 의원은 출마선언 후 기자들과 만나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어떤 산업이 부상할 것인가에 대해 업계에서도 준비하고 있고 거기에 따라 법제가 따라주지 않는다면 속도가 늦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20년 전 IMF 외환위기 때도 그런 일을 통해 정보기술(IT) 강국의 초석을 놓았다”며 “신산업 규제를 완화하거나 지원 근거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부동산 문제에 대해선 “공급을 제약하는 규제를 완화하는 방안을 서울시와 협의 할 필요가 있다”며 “유휴부지를 잘 활용해서 주택 공급 늘리는 방안은 우선 가능하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또 “당의 역할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정부가 하는 일을 견인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며 강한 여당을 주문하기도 했다.
이 의원이 ‘7개월 임기’라는 한계에도 불구하고 당 대표 출마를 선언한 것은 ‘이낙연 세력’을 구축하기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압도적인 대선 후보 지지율 1위를 달리고 있는 이 의원이지만 ‘세력 부족’은 본인도 인정하는 약점이다. 그는 지난해 12월 언론 인터뷰를 통해 “다수 국민의 마음을 얻는 것, 그리고 확실한 자기 세력. 제가 전자는 비교적 얻어가고 있는 것 같은데 후자는 아직 불확실하다”고 할 정도로 부족한 당내 기반을 약점으로 꼽았다. 지난 3월 관훈토론회에서는 “근본적으로 열린우리당에 동참하지 않았던 소수파 출신이라는 한계가 여전히 남아 있다”고 그 이유를 설명했다.
이 의원은 총선 전후로 세를 확장하며 이 같은 취약점을 극복해나가고 있다. 이미 4·15총선 과정에서 20명 넘는 의원들의 후원회장을 맡으며 접촉면을 넓힌 데 이어 현역 의원 40명이 함께하는 코로나19국난극복위원회를 이끌었다. 설훈·이개호·오영훈 의원 등이 공개지지를 선언하며 ‘NY계’가 만들어졌고 박광온·최인호 의원 등 친문으로 분류되는 이들도 이 의원 캠프에 속속 합류하고 있다.
이 의원이 당권을 잡을 경우 주요 당직에 ‘이낙연계’를 배치해 장악력을 높일 수 있다. 전국 지역위원장을 선임해 대선 도전의 기반으로 삼을 수도 있다. 이 의원과 가까운 한 중진 의원은 “문재인 대통령도 10개월 당 대표를 했다. 대통령이 된다는 사람이 당을 이끌어보지 않는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했다.
김부겸 전 의원은 ‘친노 마케팅’으로 대세론에 맞서고 있다. 이날 광주를 방문한 김 전 의원은 “노무현과 김부겸은 지역주의를 넘어 설 지도자”라고 강조했다. ‘노무현의 멘토’ 김원기 전 국회의장이 김 전 의원 후원회장을 맡은 데 이어 ‘원조 친노’ 유인태 전 국회 사무총장도 캠프에 합류했다. 김 전 의원은 노 전 대통령과 함께 운영한 고깃집 ‘화로동선’의 추억을 꺼내기도 했다. 친노 적통을 잇겠다는 의지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