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군, 헬기 사업에 난기류

위기의 항공산업, 존망 기로에

육군 UH-60 103대 개량이냐 교체냐

수리온 성능개량으로 엔진 출력 향상

예비역, 국회가 외국산 헬기 도입 앞장?

국산 수리온이 선택되어야 하는 5가지 이유

군의 헬기 사업에 난기류가 형성되고 있다. 국산 헬기 대신 외국제 헬기를 수입하자는 주장이 군 예비역과 국회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총 4조 5,000억원 규모의 육군 기동헬기 후계 사업과 해병대 상륙공격헬기 기종 선정에 따라 파장이 예상된다. 국내 항공산업의 미래는 물론 고용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규모가 가장 큰 사업은 육군의 UH-60 기동헬기 후계 사업. 한국군에서는 비교적 신형 기체로 분류되지만 UH-60조차 기체연령이 20~29년에 이른다. 대한항공이 1991년부터 1999년까지 면허생산한 기체 139대 가운데 특수작전용을 뺀 103대가 교체 또는 개량 대상이다. 수량이 많은 만큼 사업비도 크다. 최대 3조원 사업을 놓고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의 성능 개량형 수리온과 미국 시코르스키(록히드 마틴 계열)의 개량 키트가 맞서게 됐다.




UH-60 시리즈의 최종진화형인 V형. 육군은 보유 중인 UH-60P형 103대를 M형으로 개량하거나 국산 수리온으로 대체할 계획이다. 미국은 약 4,000여대가 생산된 이 시리즈 중에서 일부만 V형 모델로 개조하고 차세대 헬기로 넘어갈 예정이다.UH-60 시리즈의 최종진화형인 V형. 육군은 보유 중인 UH-60P형 103대를 M형으로 개량하거나 국산 수리온으로 대체할 계획이다. 미국은 약 4,000여대가 생산된 이 시리즈 중에서 일부만 V형 모델로 개조하고 차세대 헬기로 넘어갈 예정이다.



◇수리온 개량형은 ‘성능 동등’= 성능은 어느 기종이 우월할까. 현재 기종을 기준 삼으면 수리온이 딸린다. 수리온의 최대 이륙중량이 8.7t인 반면 UH-60은 10.6t. 탑승 무장병력도 UH-60(11명)이 수리온(9명)보다 많다. 그러나 비교 대상은 두 기종 다 성능개량형이다. 지난 8월 성능을 비교한 합동참모본부와 국방과학연구소(ADD)의 분석에 따르면 두 기종의 성능은 동일하고, 자동비행과 헬멧 통합 등 첨단 성능에서는 오히려 수리온이 앞선다. 수리온 성능개량형의 최대 특징은 기어박스를 재설계, 엔진 출력을 극대화한다는 점. 이륙중량과 탑승 무장병력이 UH-60 개량형과 동일하다. 수직상승률과 제자리 비행 최대 고도는 수리온이 우세하다.

국산 수리온 헬기. 4,000억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 UH-60과 동등한 성능으로 끌어올리는 개량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첨단 기어박스 개발이 완료되면 국산화율이 10% 올라가고, 이미 생산, 배치된 수리온 계열 헬기도 창정비시 보다 강력한 기체로 다시 태어날 길이 열린다.국산 수리온 헬기. 4,000억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 UH-60과 동등한 성능으로 끌어올리는 개량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첨단 기어박스 개발이 완료되면 국산화율이 10% 올라가고, 이미 생산, 배치된 수리온 계열 헬기도 창정비시 보다 강력한 기체로 다시 태어날 길이 열린다.


◇ UH-60 보다 수리온 선택해야= 동일한 성능이 발현된다는 전제가 성립된다면 선택은 자명하다. 수리온이 선택되어야 한다. 다섯 가지 이유에서다. 첫째는 가격. 물론 액면 획득가는 UH-60이 낮다. 개발비 2,652억원과 대당 성능개량비 153억, 노후 기체의 기골 보강비 50억원 등 2조 3,500억원대 예산이 들어간다. 반면 수리온은 성능 개량 연구에 투입될 4,000억원을 포함해 2조 9,000억원에 이른다. 그러나 보이지 않는 계산식을 고려하면 얘기가 달라진다. 미 회계감사국에 따르면 회전익기의 30년 운용유지비용은 획득비용의 3배가 들어간다. 개량과 주요 부품 조달과 수리를 해외에 의존하는 경우 부담은 더 커진다. 국산 항공기의 운용유지비용은 국외보다 약 3분의 1 수준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눈에 보이지 않은 가격이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둘째는 수명주기와 국내외 수급 상황. 안승범 디펜스타임즈 대표는 “우리 군은 해외 신품 직도입이나 국내 생산한 회전익은 50년, 중고 도입기는 30년 정도의 수명주기를 갖고 있다”며 “이미 기령 30년에 이른 UH-60을 개량하더라도 첫 생산 후 50년을 넘겨 가며 얼마나 더 오래 운용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라고 말했다. 안 대표는 “미군도 일부 기체만 최신형인 UH-60 V로 개량하고 차세대 헬기로 옮길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셋째는 헬기 전력 공백 우려. UH-60을 택할 경우 해마다 일정대수는 개량 작업을 위해 현역에서 빠질 수 밖에 없다. 가뜩이나 UH-60은 물론 CH-47 치누크 헬기의 피로도가 높은 마당에 실질 운영 헬기가 급속하게 줄어들 수 있다. 반면 수리온은 신규 생산이기 때문에 헬기 전력이 줄어드는 게 아니라 UH-60이 자동도태되는 순간까지는 되려 증강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안 대표는 “새로 창설되는 한국형 공중강습사단에 신형 수리온 헬기를 몰아주고 기존 UH-60은 일선 사단에서 운용한다면 군의 종합전력이 훨씬 강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관련기사



넷째는 진화적 개발을 통한 기술 축적. 개량형 수리온이 ‘UH-60 동등’ 성능을 낸다면 기존의 수리온도 창정비를 통해 개량형으로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수리온 블록 10, 20 등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얘기다. 한양대 조진수 교수(금속공학부·전항공우주협회장)는 “미국 F-16 전투기가 나온지 40년 넘도록 최신형을 자랑하는 것은 꾸준한 개량 덕분이며 우리도 국산 무기를 사줘야 관련 기술을 발전시켜나갈 수 있다”고 말했다.

다섯째, 민간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셈하기도 어렵다. 수리온 개량형 개발로 획득될 기어박스와 비행제어 장치 등 핵심기술의 수입대체 효과는 4조원에 이를 전망이다. 경남 사천 등지의 중소항공업체의 일자리도 유지하거나 늘릴 수 있다. 조 교수는 “자동차나 반도체의 국산화 의지가 없었다면 한국의 오늘날은 없었다”며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으로 더 어려워진 경제 상황에서 국방예산이 국내에 환류되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산보다 해외 무기’ 수상한 예비역들= 국산 수리온이 갖고 있는 장점과 잠재력에도 국회에서는 ‘외국산 장비가 훨씬 낫다’는 주장이 버젓이 나오고 있다. 보수정당의 장성 출신 의원이 육군 기동헬기 뿐 아니라 해병대용 상륙공격헬기에 이르기까지 외국산 장비가 우수하다고 강조하는 행태까지 일어났다. 정치권 뿐 아니다. 전문연구기관의 용역 연구가 신뢰를 얻지 못하고, 합동참모본부의 의사결정 과정과 그 중요성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채 위법 가능성을 제기한 공무원도 있었다. 군도 제대로 된 요구성능(ROC)을 제출하지 못해 오해를 자초한 측면이 있다. 무기 체계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다는 얘기에 다름 아니다.

국방위원회 소속이던 김종대 전 의원은 “미국은 조선산업의 경쟁력이 떨어진 이후에도 군함은 자국에서만 건조하는 등 어느 나라든 국산무기를 우선 획득하는 게 원칙”이라며 “예비역 장성이 해외 무기업체의 대리인을 대놓고 맡는 나라도 한국 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방산 비리의 대부분은 해외 무기 도입에서 발생한다”며 “‘명백한 이해 충돌’ 가능성이 큰 예비역 장성들의 해외방산기업 취업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국산무기체계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군 지휘부의 용단도 필요해 보인다. 안영수 산업연구원 방위산업센터장은 “수리온과 소형무장헬기(LAH)의 꾸준한 개량, 무인기와 연결 등 소프트웨어 개발이 전제되어야 다음 단계로 넘어가 세계수준에 접근할 수 있는데, 최근 일부 흐름을 보면 항공 산업 발전의 맥이 끊기는 것 같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안 센터장은 “국방부 장관과 합참의장, 각군 총장부터 국산 수리온을 탈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권홍우기자 hongw@sedaily.com

권홍우 논설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