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일회용품 사용이 급증했지만 재활용되는 자원은 일부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수작업으로 진행되는 재활용 분류 작업에서 재활용이 가능한 재질을 구분하는 데 어려움이 있고 인력에 비해 쓰레기 반입량이 지나치게 많은 탓이다.
28일 한국소비자원은 충청북도 소재 4개 재활용품 선별 시설을 조사한 결과 소비자가 분리수거로 배출한 재활용 가능 자원 중 일부 재질이 선별되지 않고 그대로 매립·소각되고 있다고 밝혔다.
조사 대상 4개 재활용품 선별 시설 모두 재활용 의무 대상 포장재인 페트 시트류, 폴리스티렌페이퍼, 기타·복합 재질을 골라내지 않고 있었다. 이는 포장재에 다양한 재질이 사용돼 수작업으로 진행되는 공정에서 선별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특히 화장품·샴푸 용기, 도시락 뚜껑, 테이크아웃 컵·뚜껑 등 일상생활에서 많이 쓰이는 플라스틱이 재질 구분이 힘들고 일부 재질은 재활용이 불가능해 매립·소각되고 있었다. 플라스틱 폐기물이 매립될 경우 미세 플라스틱 형태로 변해 음용수·먼지·공기 등 다양한 경로로 인체에 축적될 수 있다. 한국소비자원 관계자는 “용도에 따라 포장재의 재질을 통일하는 등 제조 단계부터 재활용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며 “소비자가 분리배출을 하더라도 상당량의 재활용 의무 대상 포장재가 재활용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재활용률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한국소비자원이 공공 선별 시설 4개 소에서 근무하는 50명을 대상으로 복수 응답을 허용해 설문 조사한 결과 76%가 ‘선별 인력에 비해 반입량이 지나치게 많이 발생한다’고 응답했다. ‘세척되지 않아 이물질·오물 등에 오염된 경우’가 58%로 뒤를 이었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소비자들이 재활용 가능 자원을 분리배출할 때 이물질·오물 등을 사전에 제거할 수 있도록 배출 요령에 대한 홍보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또한 "실제 가정에서는 올바른 분리배출 방법에 대한 홍보가 부족한 것으로 확인돼 재활용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표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며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분리배출 대상 품목 재질의 통일·규격화 및 재활용률 제고 방안 마련 등을 요청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심기문 기자 door@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