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안 300~400명대에 머물렀던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연일 가파르게 치솟고 있다.
현재 확진자 수는 불과 일주일 사이 500명대, 600명대를 거쳐 700명 선까지 도달한 상태다. 특히 유흥시설과 교회를 고리로 발생한 대규모 집단감염 사례에서 꾸준히 확진자가 늘고 있는 데다, 실내체육시설 등 다중이용시설에서도 크고 작은 감염이 속출하고 있어 당분간 확진자 수는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전문가들은 “3차 대유행이 채 끝나기도 전에 4차 유행이 본격화할 수 있다”며 “추가 방역 조치가 없다면 하루 1,000명대 확진자가 나올 수도 있다”고 경고한다. 이에 정부는 고위험시설을 중심으로 방역강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정부는 9일 오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내주부터 적용할 '사회적 거리두기'(수도권 2단계, 비수도권 1.5단계) 및 전국 5인 이상 사적모임 금지 등의 방역조치 조정안을 확정한 뒤 브리핑을 통해 발표한다. 거리두기 단계 일괄 격상보다는 유흥시설과 종교시설 등 집단감염이 빈발하는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조치를 강화하는 이른바 '핀셋 방역'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91일만에 700명선 …일평균 확진자 수, 한 달째 2.5단계 범위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전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700명이다. 직전일(668명)보다 32명 늘어 지난 1월 7일(869명) 이후 91일 만에 최다를 기록했다. 700명대 확진자는 '3차 대유행'이 정점을 찍고 내려오기 시작한 올해 1월 5일(714명) 이후 93일 만이다. 이날 0시 기준으로 발표될 신규 확진자는 전날보다 다소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방역당국과 서울시 등 각 지방자치단체가 전날 0시부터 오후 9시까지 중간 집계한 신규 확진자는 총 606명으로, 직전일 같은 시간의 647명보다 41명 적었다. 밤늦게 확진자가 많이 늘지 않는 추세를 고려하더라도 600명대 중후반에 달할 전망이다.
최근 들어 확진자는 급격한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최근 1주일(4.2∼8)간 신규 확진자는 일별로 557명→543명→543명→473명→478명→668명→700명을 기록해 하루 평균 566명꼴로 나왔다. 이 가운데 거리두기 단계 조정의 핵심 지표인 일평균 지역발생 확진자는 543명으로, 이틀 연속 500명 선을 넘었다. 이 수치는 지난달 10일 기준(399.7명)으로 사실상 400명 선을 넘어선 이후 전날까지 한 달째 거리두기 2.5단계(전국 400∼500명 이상 등) 범위에 있다.
일괄적 단계 격상 대신 업종별 핀셋방역 가능성
이처럼 갈수록 확산세가 거세지는 데는 다양한 일상감염에 더해 일부 고위험시설에서 대규모 집단감염이 반복해서 발생하는 영향이 크다. 일례로 부산 유흥주점 집단감염 관련 확진자는 전날 기준으로 총 318명으로 집계됐고, 자매교회 순회모임을 고리로 집단발병이 발생한 '수정교회' 사례의 누적 확진자는 13개 시도, 208명으로 늘어났다. 이와 관련해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은 전날 기자간담회에서 유흥시설 등 최근 감염이 급증한 특정 업종에 대한 제한적 방역 수위 강화 가능성을 시사했다. 권 장관은 "거리두기 단계 완화가 있었던 비수도권 유흥시설에서 집단감염이 많이 발생한 것이 환자 증가 추세로 이어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거리두기 조정 측면에서 가장 어려운 점은 국민들의 피로도가 누적된 상황"이라며 "행정적으로 가장 쉬운 방법은 거리두기 단계를 올리는 것이지만, 그러면 선의의 피해자가 너무 많이 생기기 때문에 최대한 방역 조치를 잘 준수하는 시민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방법을 찾아서 시행 방안에 담고 있다"고 설명했다. 권 장관의 발언으로 볼 때 정부가 이미 거리두기 단계 일괄 격상 대신 시설별 핀셋 방역 강화로 가닥을 잡은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권준욱 방대본 제2부본부장 역시 "집단감염의 유행지역이나 특정한 업종·시설에 대해서 특별방역대책이 시행되면 뚜렷하게 발생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면서 "이는 지금껏 구축해 온 방역체계와 시스템이 어느 정도는 유효하게 작동할 수 있다는 방증"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 7일 열린 생활방역위원회에서도 일괄적 단계 격상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린 가운데 환자가 집중적으로 발생한 업종에 대해 방역 조치를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다수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김경림 기자 forest03@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