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두 가지 정책 목표는 물가 안정과 최대 고용이다. 긴축으로의 정책 전환도 이 두 목표의 성취 여부에 달렸다.
이중 물가 안정은 인플레이션이 연준의 정책 목표치인 평균 2%를 크게 웃돌면서 초과 달성된 상태다.
핵심은 최대 고용인데 연준은 여러 고용지표를 두루 본다면서 무엇이 최대 고용인지 명확히 밝히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정확히 언제 연준이 금리 인상에 나설지 가늠하기 어렵다.
연준에서 20년간 이코노미스트로 일한 앤드루 레빈 다트머스대 교수는 최대 고용과 관련해 “연준은 시장과 선거로 뽑힌 당국자들에게 최대한 명확하게 전략을 설명해야 하며 투명할 필요가 있다”며 “안타깝게도 연준은 최대 고용에 대해 투명하지 않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그는 최대 고용은 실업률만으로 평가해서는 안 되며 고용률이 좀 더 적합하다고 밝혔다. 레빈 교수는 “실업률만을 볼 수는 없다”며 “취업을 아예 포기한 이들이 집계되지 않기 때문인데 연령대별 인구 대비 고용 비율을 보는 게 좋다”고 설명했다. 이어 “25세부터 54세 성인의 고용률이 좋은 척도”라며 “이는 그들이 적극적으로 구직 활동을 하는지 안 하는지를 포함한다”고 강조했다.
추가로 미국의 경우 고용 인구를 학력과 인종별로 세분화해서 봐야 한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레빈 교수는 “고용 시장은 노동자의 배경과 기술 수준에 따라 매우 다르다”며 “이는 인종별로도 차이가 있다. 역사적으로 흑인과 히스패닉의 고용은 백인보다 느리게 회복된다”고 전했다. 그는 또 “이것이 미국인들의 전반적인 고용률만 보면 안 되는 이유”라며 “연준은 최대 고용에 대해 투명해야 한다. 레이얼 브레이너드 이사가 새로 부의장을 맡은 만큼 연준이 더 투명해지기를 기대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