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보험

저출산 탓 사망보험 '시들' 고령화 덕 질병보험 '활활'

보험연구원 ‘세대별 보험상품 가입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

30대 생명보험 가입 年 7.2%↓

60세 이상선 20% 가까이 폭증





고령화와 저출산, 비혼 1인 가구 증가로 3040대의 신규 보험 가입이 줄어든 반면 고령층 보험 가입자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본인 사망 이후 가족들의 생활을 돕는 사망보험 인기가 갈수록 떨어지고 고령화 여파로 질병보험과 간병보험 수요가 증가했다.



9일 공개된 보험연구원 ‘KIRI리포트’에 실린 ‘세대별 보험 상품 가입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0년부터 2019년 사이 개인형 생명보험 상품의 연평균 신계약 증가율은 60세 이상(19.8%) 연령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30대의 신계약은 연평균 7.2%씩 줄었고 30세 미만과 40대에서도 각각 연평균 5.5%, 3.3% 감소했다. 개인형 생명보험 상품에는 연금, 종신·정기·상해·질병·암·변액 보험 등이 포함된다. 연금, 상해·운전자·어린이·재물·장기간병 보험 등 장기 손해보험도 60세 이상에서 연평균 신계약 증가율이 20.9%를 기록했으나 30대에서는 0.5%에 그쳤다. 40대와 30세 미만 증가율도 각각 2.5%와 2.6%로 고령층에 훨씬 못 미쳤다.

관련기사



이에 따라 개인형 생명보험 신계약 중 30대 비중은 2010년 28.5%에서 2015년 15.9%로 줄었고, 60대 이상은 3.3%에서 18.5%로 늘었다. 장기 손해보험의 경우에도 30대는 23.5%에서 15.4%로 감소하고, 60세 이상은 4.9%에서 17.1%로 증가했다. 그 결과 보험 가입자의 평균연령이 생명보험은 2010년 38.3세에서 2019년 46.0세로, 장기 손해보험은 이 기간 38.0세에서 43.7세로 각각 높아졌다.

40대 이하의 보험 유입 감소 추이는 종신·연금·저축성·변액·정기 보험 등 노후 소득이나 사망 보험금을 보장하는 상품에서 더 두드러졌다. 40대 이하 신규 가입 감소의 원인은 장기간 계속된 저출산의 영향으로 고령층이 늘어나는 인구구조의 변화가 우선으로 꼽힌다. 2010년부터 2020년에 30대 인구는 연평균 1.4% 감소했지만 60세 이상 인구는 연평균 4.7% 증가했다.

보고서는 인구구조 변화 외에도 비혼이나 무자녀 인구 증가를 원인으로 지목했다. 30·40대 사망률이 낮아진 것도 사망 보험금 수요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반면 건강한 노후와 돌봄 필요에 대비한 질병보험과 간병보험 수요는 커지고 있다. 2010~2019년에 30대의 신규 계약은 대체로 감소했지만 간병보험은 연평균 101.4% 증가했다. 김 연구위원과 정 연구원은 “보험 산업 성장을 위해서는 고령층 보험 수요를 흡수하는 동시에 30·40대와 그 이하 연령층의 수요를 파악하고 보험 가입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김현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