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한은 “근로자 1000명당 로봇 10대 도입하면 재해근로자 8% 감소”

육체 직무 종사자 비중 줄이는 영향





로봇이 육체 직무 종사자 비중을 줄이면서 산업재해 감소에 도움이 됐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다만 전 세계서 가장 빠른 속도로 로봇이 도입되고 있음에도 산업재해가 끊이지 않는 만큼 추가적인 정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7일 김혜진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이 발표한 ‘로봇도입이 산업재해와 근로자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연구에 따르면 2010~2019년 로봇노출도(근로자 1000명당 로봇 대수)가 1표준편차(9.95대) 증가했을 때 근로자 100명당 재해근로자 수가 8%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상 부상으로 인해 근로자 신체 등에 장애가 남는 경우 지급되는 장해급여는 16.8% 감소해 가장 뚜렷한 영향을 받았다.

관련기사



로봇 도입으로 산업재해가 줄어드는 것은 로봇이 노동집약적이고 위험한 업무를 대체하면서 근로자 중 육체 직무 종사자 비중이 감소했기 때문으로 추정했다. 로봇도입으로 무거운 물체를 운반하거나 반복적인 업무를 대체해 근골격계 위험을 낮추고 용접 공정, 위험 물질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로봇노출도가 1표준편차 증가했을 때 지역의 육체직무 종사자 비중은 0.36%포인트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로봇도입이 많이 증가한 지역에서 근로자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개선됐다. 특히 로봇이 많이 도입되는 근로환경에서 일하는 저학력 근로자에게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관찰됐다는 평가다.

우리나라는 제조업 근로자 1만 명당 산업용 로봇 대수를 나타내는 로봇 밀집도가 932대로 전 세계 평균 126대를 크게 웃도는 등 로봇 도입 속도가 빠르다. 다만 로봇 도입으로 위험한 업무를 대체했음에도 산업재해는 끊이질 않고 있다.

김 부연구위원은 “산업재해 감소, 근로자 건강 개선 등 산업용 로봇의 긍정적 효과를 새롭게 발견한 만큼 추후 기술 도입 관련 정책을 수립할 때 이러한 편익을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조지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