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차세대 해양 모빌리티), 강원(보건의료 데이터), 충북(첨단 재생 바이오), 전남(에너지 신산업)이 글로벌혁신특구 후보 지역으로 선정됐다. 글로벌혁신특구는 일부 금지 사항 외 모든 종류의 시험 분석, 인증 획득, 성능평가 등 실증이 허용되는 규제 프리 지역이다. 특히 글로벌 기업들도 적극적인 참여 의사를 밝힌 만큼 새로운 지역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8일 글로벌혁신특구 후보 지역으로 이같이 4곳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중기부는 내년에 79억 원의 예산을 배정해 입주 기업을 지원하고 각 지방자치단체도 자체 예산을 마련해 기업의 실증 활동 등을 도울 예정이다. 정부는 이번에 선정한 4개 특구 후보지를 내년 3월 규제자유특구심의위원회 의결을 거쳐 최종 지정한다. 또 2027년까지 4곳을 포함해 총 10개의 글로벌혁신특구를 지정할 방침이다.
부산은 신항만을 중심으로 한 물류 중심지로서 차세대 해양 모빌리티 거점으로 거듭날 예정이다. 해양 모빌리티 분야에서는 탄소 포집, 대체 연료 추진 등 각종 신사업이 각광받고 있지만 그동안 국내에 관련 제도와 법령이 없어 기술 개발이 지연돼왔다. 부산시는 이번 글로벌혁신특구 선정을 계기로 탄소 포집, 미래 연료, 차세대 추진 시스템, 융합 인공지능(AI) 등 각종 분야에서 딥테크 기업 40개를 육성하고 차세대 해양 모빌리티 클러스터를 조성할 계획이다. 강원은 보건의료 데이터 분야 산업 고도화에 나선다. 개인정보법 등으로 인해 수집·분석이 어려웠던 의료 데이터를 중기부·보건복지부·식품의약품안전처·개인정보보호위원회 등 유관 기관과 협의해 일부 활용할 수 있게 할 계획이다. 바이오 클러스터 오송지구를 보유하고 있는 충북은 첨단 재생 바이오 거점으로 진화한다. 한국전력 본사가 있는 전남은 차세대 에너지 기술인 직류송전 기술 개발을 지원해 국제표준을 선점한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글로벌혁신특구에는 마이크로소프트(MS)·로레알그룹·ARM·UL솔루션 등 글로벌 기업들이 입주 기업들과 협력할 계획이다. 입주 기업들의 글로벌 진출을 돕고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해 기술 교류에 나설 예정이다. 오기웅 중기부 차관은 “글로벌 기준과 시대에 부합하지 않는 규제는 과감하게 개선하고 우리 기업이 해외에서 경쟁하는 데 걸림돌이 되는 부분은 글로벌 스탠더드로 바꿔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