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카카오모빌리티, 현대엘리베이터와 ‘로봇플랫폼·승강기 연동 표준 기반 서비스 고도화’ MOU

로봇 배송 친화적 환경 구축

류긍선(오른쪽) 카카오모빌리티 대표와 조재천 현대엘리베이터 대표가 지난 7일 카카오모빌리티 본사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카카오모빌리티류긍선(오른쪽) 카카오모빌리티 대표와 조재천 현대엘리베이터 대표가 지난 7일 카카오모빌리티 본사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모빌리티는 현대엘리베이터와 ‘로봇 플랫폼·엘리베이터 간 연동 표준 기반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카카오모빌리티가 지난 4월 출시한 로봇 배송 서비스 ‘브링’은 복잡한 배송 주문의 최적 배차를 통해 관리자 개입을 최소화 하면서 로봇의 이동 효율성은 높인 게 특징이다. 플랫폼 제어로 사무실・호텔・병원 등 로봇을 고려해 설계되지 않은 기존 건물에서도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다.

관련기사



양 사는 로봇과 승강기 간 사용자 친화적인 환경을 구축하기로 했다. 카카오모빌리티의 모빌리티 기술과 현대엘리베이터의 승강기 인프라 및 운영 노하우를 접목해 로봇과 승강기 간 상호 연동을 통한 로봇 배송 시간을 단축시킬 계획이다.

아울러 한 승강기에 로봇과 사람이 동승하면 생길 수 있는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한 ‘로봇 배송 서비스 생태계’ 구축에도 힘을 모으기로 했다. 사용자 경험(UX)을 고려한 로봇플랫폼-승강기 연동 표준을 개발하고 기술 강화 협의체를 발족할 예정이다.

카카오모빌리티 관계자는 “로봇과 사람이 공존하는 사용자 친화적인 연동구조가 개발되면, 로봇배송 과정의 약 70%를 차지하는 승강기 이용 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다"면서 "로봇 서비스가 오피스・호텔・병원・주거 등 다양한 공간 속 복잡한 환경에도 도입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는 "이번 업무협약은 승강기와 로봇 간 연동 규격을 사용자 친화적으로 고도화하고 표준을 선도할 수 있는 중요한 모멘텀이 될 것"이라며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을 기반으로 새로운 경험을 선사하는 로봇 서비스를 지속해서 선보이도록 하겠다”고 했다.


윤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