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중국·일본이 공동으로 안중근 의사 유해발굴위원회를 설립해야 합니다. 정부가 안 의사 유해를 찾는 데 미온적이고 단발적인 참여만 하고 있습니다."
지난 10년 동안 안중근 의사의 유해를 찾는 데 헌신해온 중국 다롄외국어대의 김월배 교수가 그동안 확보한 안 의사 유해에 대한 모든 자료와 앞으로 진행될 유해 발굴 사업에 참고할 만한 정보, 유해 발굴의 실효성 있는 방안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책으로 내놓아 관심을 모으고 있다. 청동거울출판의 '뤼순의 안중근 의사 유해발굴 간양록'이다.
그는 지난 2005년 중국으로 건너간 후 10년간 안 의사의 유해를 찾는 데 헌신했다. 그는 오랜 노력을 토대로 과거 진행된 한중 내 안 의사 유해 찾기의 성과, 뤼순 감옥에서 단독으로 유해 발굴을 시도한 사실, 유해 매장지에 대한 일본 측 사료, 당시 신문 보도와 사료, 안 의사 수감 당시의 일본인과 뤼순 감옥의 중국 측 근무자·수감자의 증언, 1970년대 뤼순 감옥 주변 거주자의 증언 등 의미 있는 자료를 집대성했다.
1909년 10월26일 중국 하얼빈역에서 일본 초대 총리이자 제1대 대한제국 통감이었던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안 의사. 그는 의거 직후 체포돼 뤼순의 일본 감옥에 갇혔고 이듬해 2월14일 사형선고를 받아 같은 해 3월26일 세상을 떠났다.
안 의사는 형이 집행되기 전 두 동생에게 "내가 죽은 뒤 나의 뼈를 하얼빈공원 곁에 묻어뒀다가 우리 국권이 회복되거든 고국에 묻어달라"는 유언을 남겼다.
그러나 안 의사의 묘지가 일제 침탈에 맞서는 동아시아인들의 성지가 될 것을 두려워한 일제는 그의 시신을 유기해버렸다. 광복 후 70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안 의사의 유해가 어디 있는지는 오리무중이다.
안 의사의 유해 찾기는 한국·북한·중국·일본의 노력이 모두 필요한 사업이다. 그러나 일본은 안 의사 매장지에 대한 근거가 될 만한 자료를 전면 공개하지 않고 있고 중국은 북한과의 관계를 고려해 '지표 투과 레이더' 도입을 꺼린다.
김 교수는 책에서 "이런 한계 속에서 우리 정부도 미온적이고 단발적인 참여만 하고 있다"며 "한중일 공동 유해발굴위원회를 설립해 협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