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에도 늘 그래왔듯이 나쁜 예감은 틀리지 않는 것 같다. 세월호 사고 초기만 해도 국론은 더 이상 후진국형 대형 재난을 되풀이하지 말자는 데 일치했었다. 하지만 애초의 다짐은 참사 한달을 넘기면서 다시금 흔들리고 있다. 국론분열에는 누구보다 정치권이 앞장서고 있다. 세월호 사고를 6·4지방선거에 악용하지 않겠다던 여야가 '민심'이라는 명분을 내세우면서 세월호 사고를 정치쟁점화하고 있다.
정부 여당은 선거에 악재가 될 수 있는 만큼 "일상으로 돌아가자"며 이번 사고를 선거와 분리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반면 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은 세월호 사고에 대한 국민적 분노를 희생자 세대인 10대와 부모세대인 40대를 연결하는 '분노확산 마케팅'에 활용하려 한다. 야당 주변에서는 성난 엄마를 뜻하는 '앵그리맘을 잡아라'라는 정치구호까지 동원될 정도다. 세월호 사건을 겪은 후의 차분한 대안마련보다는 온 국민이 겪는 분노와 허탈감에 정치적 호기심을 발동하는 것과 다를 바 없다.
외국 교포사회의 분열상도 심상치 않다. 미국 교포 중 일부가 미국 매스컴에 세월호 참사와 관련한 정부 비판 광고를 한 데 대해 다른 한인단체들이 규탄하는 성명을 내며 대립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한쪽에서는 "국민에게 힘과 용기를 낼 수 있도록 해야 할 때 상식 이하의 행동을 했다"고 비판하고 다른 한쪽에서는 "종북과 국가전복 선동의 프레임을 씌우고 있다"며 반발하는 모습이다. 17일에는 서울 청계광장에서 전국 500여개 진보성향 시민사회단체가 참여하는 '세월호 시민 촛불 원탁회의'까지 예정돼 있다. 참사 진상규명 및 책임자 처벌을 요구한다는 방침이다. 어느 한구석 자숙 분위기를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세월호 참사는 사고발생의 원인규명과 책임자 처벌, 근본적 사후 안전사고 방지대책 모색 등 모든 면에서 이전의 어느 재난에 비해서도 거국적 노력이 요구되는 과제다. 국론이 하나로 통일되지 않으면 수행하기 어려우리라는 것은 자명하다. 정부 역시 국가개조 수준의 비상한 각오를 밝히고 있지 않은가. 그럴수록 당리당략적 접근보다 정치권 스스로 세월호 참사와 관련해 국론을 한데 모으는 일에 앞장서야 마땅하다. 재난방지 시스템 재구축의 경우 정치권에도 막대한 책임이 있다. 국민 일반의 생업복귀도 시급한 실정이다. 언제까지 세월호를 정치적 볼모로 삼으려 하는지 답답한 노릇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