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 유커 다 뺏기나" 관광업계 긴장

日, 엔저 이어 면세 확대·비자 완화로 中 관광객 유치 사활
올 일본 방문한 중국인 80%나 급증
한국은 39% 증가 그쳐 상승률 주춤
"시내면세점 확대 등 유인책 마련을"

일본은 외국인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해 다음달부터 ''제2회 재팬 쇼핑 페스티벌'' 행사를 갖는다. 지난해 제1회 행사를 알리는 플래카드가 도쿄 신주쿠 거리에 휘날리고 있다. /사진제공=일본쇼핑관광협회


엔저에 힘입어 일본이 관광시장을 키우고 있다. 특히 '큰손' 유커(游客·중국인 관광객) 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어 경쟁관계에 있는 한국에 위협이 되고 있다.

24일 일본정부관광국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 10월까지 일본을 방문한 해외 관광객은 1,100만9,00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보다 27.1%가 늘어난 수치다. 특히 유커들의 증가속도가 눈부시다. 같은 기간 일본을 방문한 유커는 201만명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무려 80.3%가 늘어났다.

일본행 유커가 급증하는 것은 무엇보다 엔저 때문으로 분석된다. 엔저가 지속되면서 올해 중국 위안화는 일본 엔화에 비해 무려 12.3%나 절상됐다. 유커 입장에서 똑같은 일본 관광상품을 절상분만큼 싸게 살 수 있는 셈이다. 반면 같은 기간 위안화는 한국 원화에 대해 3.96% 절상하는 데 그쳤다. 위안화는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집권한 2012년부터 현재까지 2년여간 엔화에 대해 무려 50% 가까이 절상됐다.

관광 분야에서 일본은 한국의 대체적 성격이 강해 한국시장에 직접적 영향을 줄 수 있다. '2013년 외래관광객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에 온 외래관광객들이 관광지를 결정할 때 한국과 비교국가로 일본을 선택한 비율이 38.2%나 됐다. 5명 가운데 2명은 목적지를 바꿀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한국을 방문한 중국인의 증가율은 지난해 52.5%에서 올해는 39%로 하락했다. 중국의 긴축과 부패척결 분위기로 중국인의 해외여행 증가속도가 주춤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한일 간의 유커 유치경쟁은 한층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실제 일본은 유커를 겨냥해 선박관광상륙허가제도를 만들어 중국에서 온 크루즈 여행객들이 쉽게 입국할 수 있도록 했다. 전반적인 비자 절차를 간소화하는 것은 물론 방사능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한 중국 내 일본의 이미지 홍보를 강화하고 있다. 일본은 외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한 쇼핑행사인 '재팬 쇼핑 페스티벌'을 지난해에 이어 올해 두 번째로 다음달 1일부터 내년 2월까지 진행한다.

관광업계의 한 관계자는 "한국과 경쟁관계에 있는 일본이 외국인 관광객 유치에 노력하고 있는 것은 눈여겨봐야 한다"며 "시내 면세점 확대 등 한국 정부가 공약한 정책들이 조속히 진행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일본은 엔저뿐 아니라 외국인에 대한 소비세 면제 확대, 비자발급 조건 완화 등 제도지원을 통해 관광객 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다. 관광업계에서는 이에 대해 경기침체에 시달리고 있는 일본이 해외 관광객 유치와 소비유도를 통해 돌파구를 찾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일본은 10월부터 '외국인여행자소비세면세제도'를 확대했다. 골자는 외국 관광객에 대한 소비세 면제 한도를 기존 5%에서 8%로 올리고 면제 대상도 기존 가전제품ㆍ의류에서 화장품ㆍ음식료품 등으로 늘렸다. 소비세가 면제되는 점포도 지난해 말 4,200곳에서 7,000곳으로 확대했다. 이러한 노력에 따라 10월 한 달간의 관광객 증가율은 지난해 10월에 비해 37%, 유커 증가율은 84%에 이르렀다.

니쓰 겐이치 일본쇼핑관광협회 사무국장은 "전국 소비세 면세점포를 오는 2020년까지 1만곳 이상으로 확대하고 시내 면세점을 신설하는 등 외국인 관광객들을 늘리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본은 과거 외국인 관광객에 대해 상대적으로 소홀했다. 1억2,000만 인구의 거대한 내수시장과 전통적으로 외국인에 배타적인 분위기가 원인이었다. 하지만 악화하는 내수침체 때문에 밖으로 눈을 돌렸다. 한 해 일본을 방문한 외래 관광객 숫자가 사상 처음으로 지난해 1,000만명을 넘긴 것(총 1,036만4,000명)은 전환점이 됐다. 올 들어서는 관광객 확대를 위해 동남아에도 문을 활짝 열었다. 베트남ㆍ인도네시아ㆍ말레이시아 등에 단기체류 비자발급 조건을 완화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