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옥에 산다는 건 문화를 느끼는 것"

황인범 도편수 '작은 한옥…' 출간
건평 12평 남짓한 '어락당' 새건물로 바꾸는 과정 담아

서울 경복궁 서쪽의 서촌에서 황인범 도편수가 한옥 보수를 위해 대패질을 하고 있다.

대보수를 마친 '어락당'의 저녁 모습.

서울 세종로 1번지인 경복궁을 중심으로 동북쪽에는 과거 조선 상류층이 주로 살았던 북촌, 서쪽에는 궁중 나인 등 중인들이 살았던 서촌이 있다. 청와대 후문 쪽인 삼청동과 가회동에 이미 관광객이 그득하다면, 서촌 쪽은 이제 시작에 가깝다. 최근 '작은 한옥 한 채를 짓다'를 펴낸 황인범(45·사진) 도편수가 요즘 주로 활동하는 곳이 바로 여기다. 도편수는 집을 지을때 최고 책임자의 목수를 가리키는 말이다.

올해로 17년차 목수인 그는 지리산 실상사 약수암, 설악산 백담사 요사채, 가평 현등사 2층 목탑 등 전국 문화재 수리현장에서 일해왔다. 이 책은 서촌의 대지 21평·건평 12평 남짓한 작은 한옥 '어락당'을 사실상 새 건물로 바꾸는 대보수 과정을 담았다.

건축공사판은 일이 거칠고 시비가 험하기로 빠지지 않는다. 그는 이 험난한 세계에서 찾아보기 힘든 '먹물' 출신이다. 강렬한 인상과 달리, 목소리도 설명도 조곤조곤한 그는 중앙대 독문과를 졸업했다. "전남 순천에서도 농가 출신이라 몸 움직이는 일에 대한 자신감이 있었죠. (웃음) 대학 시절 학생운동도 좀 했는데, 그때 친구들이 졸업 땐 결국 다 대기업으로 가는 걸 보고 자괴감이 들었어요. 하지만 제 목수 스승들은 농사와 목수 일을 함께 하며 돈이나 명예 같은 것 없이도 행복해 보였습니다. 일종의 경외감이었죠."

하지만 왜 한옥일까. 한옥에서 지내본 사람은 대개 불편한 화장실과 부족한 수납공간, 특히 추위에 취약한 것을 단점으로 지적한다. "한옥이야말로 우리 역사와 생활습관에 가장 어울리는 공간인데, 지난 30~40여년 발전이 없었어요. 이 책은 그런 한옥을 고치는 과정에서의 어려움을 하나하나 해결하면서 '해볼 만하다'라는 자신감을 주려는 목적입니다 "

그는 한옥 개조 때 반드시 건축사와 인테리어 디자이너와 함께 해야한다고 강조한다. "설계도는 이미 도편수 머릿속에 있지만, 현대적 생활공간을 만드는 건 다른 문제죠. 그래서 주인과 건축사, 디자이너, 시공자가 함께 머리를 맞대야 하는 겁니다. 한옥은 자판기 버튼 누르듯 돈만 낸다고 뚝딱 나오는 게 아닙니다."

하지만 한옥은 일반인이 쉽게 가질 수 있는 집이 아니다. 건축비만 평당 1,000만~1,300만 원대, 요즘 유행하는 '반값 한옥'도 700만 원대다. 반면 양옥은 평당 400만~500만 원이면 된다. "한옥에 산다는 건 문화를 느끼는 겁니다. 서양 장인의 '한땀 한땀' 공예품에는 큰돈을 선뜻 내면서, 한옥 장인의 작품을 비싸다고 해선 안되죠. 가격만으로 결정할 수 없는, 가치에 대한 투자입니다."

부드러운 목소리에 힘이 들어간다. 그는 정부나 지자체도 개선할 부분이 있다고 했다. "기와만 해도 서울은 전통식만 인정하지만, 전남·전주는 S자형 시멘트 기와도 허용합니다. 더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도록 관점을 넓혀야 합니다. 또 현 건축법은 해체와 조립이 자유로운 한옥의 특성과 달라, 크고 작은 보수공사에 어려움이 큽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