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년간 금속과 에너지, 몇몇 농산물 등을중심으로 진행돼온 원자재 상품가격의 강세가 세계 경제성장과 빡빡한 공급형편, 투자자금의 유입 등으로 더 이어질 것이라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10일 투자업체들과광산업체, 분석가들의 자료를 인용해 보도했다.
FT는 구리나 아연으로부터 설탕에 이르기까지 원자재 상품가격이 지난주 명목가기준으로 역대 최고수준까지 올랐지만 헤지펀드와 광산업체 경영진들은 실질가격 기준으로 아직 고점과는 거리가 멀다며 가격 강세가 좀 더 진행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전했다.
신문에 따르면 구리의 경우 수요가 공급을 능가하는 상황임에도 많은 광산업체들은 현재와 같은 높은 가격이 지속될 것이라는 데 회의적이어서 재고가 감소해왔다.
인도네시아에서 구리와 금광을 갖고 있는 프리포트맥모란의 최고 경영자 리처드애드커슨은 "금속가격은 여타 상품가격과 마찬가지로 사이클을 탄다"며 "현재의 가격이 높다고 해서 장기 계획가격을 바꿔야 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대부분의 구리광업체들은 투자 결정시 파운드당 80∼90센트선에서 장기 계획가격을 잡고 있으나 구리가격은 현재 파운드당 약 2.70달러로 지난 4년간 4배로 올랐다.
원자재 상품시장의 투자자들은 광산업체들의 이런 보수적 견해가 상품가 강세를부채질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한 헤지펀드 매니저는 "현재의 원자재 상품가가 객관적이 아니라고 생각하면서새로운 공급에 충분히 투자하지 않고 있는 광산업체들과 광산업체들이 신규 공급을늘려 (가격 움직임에) 신속하게 반응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상품시장에 더 많은돈을 쏟아넣은 헤지펀드들 사이에 시각의 차가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엑스트라타 구리의 최고경영자 찰리 사테인 최고경영자는 "(배럴당) 20달러 유가시절이 끝난 것으로 여겨지면서 장기간의 고유가가 용인되고 있는 것처럼 금속가격에도 이런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풀이했다.
그는 아울러 구리는 에너지 가격 상승, 그리고 신규 매장분들이 더 멀고 더 깊은 곳에 위치해 있는 탓에 발생하는 생산비용의 상승도 가격 급등의 한 원인이라고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