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현칼럼] 자통법 제정…그 이후
입력 2007.07.08 17:01:53
수정
2007.07.08 17:01:53
[송현칼럼] 자통법 제정…그 이후
데이비드 전
자본시장통합법(자통법)이 한국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이 법률은 한국 금융시장뿐만 아니라 한국 경제에도 매우 중요하다. 혹자는 법률 하나가 금융시장의 진로를 크게 바꾸지는 못할 것이라고도 한다. 그러나 분명 자통법에서 제시된 발전방향은 ‘경제성장 지원산업’을 ‘선도 성장산업’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 법률의 중요도는 40여년 전 수출과 제조업을 성장엔진으로 채택한 한국의 당시 결정에 견줄 수 있다. 한국 경제발전의 새로운 시대를 알리는 촉매로서 자통법은 국제적 경쟁력을 가진 금융산업을 만들어낼 것이다.
자통법을 금융산업 발전의 도약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그 의미를 정확히 인식해야 한다. 자통법에서 제시된 목적을 이루기 위해 한국은 이 법률을 작업의 끝이라기보다 변화의 시작으로 보아야 한다.
한국은 두 가지 일을 해야 한다. 만약 다음 두 가지 제안에 대답할 수 있다면 자통법 제정 이후 무엇을 해야할지 더 분명한 그림이 떠오를 것이다.
첫째는 금융 부문 구조 측면에서다. 선진 글로벌 경제에는 여러 금융구조들이 있는데 대개 미국에서 사용되는 앵글로색슨 모델과 유럽ㆍ일본 모델 등으로 나뉜다. 주된 차이는 금융산업에 대한 통제방식에 있다. 앵글로색슨 모델이 더 자유롭다. 또 금융시장 발전과 자본운동의 긍정적인 발전에 따른 이익을 금융시장에 대한 정부통제 부족이 초래하는 부정적인 면보다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반면 일본 모델은 금융시장 활동과 발전의 모든 면에서 정부의 규제가 더 심하다.
앵글로색슨 모델은 지난 20년 동안 여러 사건을 겪었다. 87년 주식시장 붕괴, 예금ㆍ대출 위기, 제1ㆍ2차 걸프만 전쟁, 롱텀캐피털매니지먼트(LTCM) 위기, 아시아ㆍ남미ㆍ러시아 외환위기의 쇼크 등인데 이런 사건들에도 불구하고 앵글로색슨 모델은 살아남았고 더 번영을 누리고 있다. 결국 현대 경제사에서 가장 생산적인 산업의 하나가 됐다. 반면 일본 모델은 성장유발 시스템으로 작동하지만 여전히 제조업 부문을 위한 지원산업의 역할에 머물러 있다.
한국과 대만은 그동안 일본 모델을 유지해왔다. 하지만 경험으로 봤을 때 분명 일본 모델은 역동적이고 성장하는 금융산업을 만들어내지 못했다. 만약 일본 모델이 금융산업 발전을 위한 옳은 모델이 아니라고 생각한다면 한국은 자통법 제정과 함께 많을 것을 바꿔야 한다.
빠르고 결정적인 행동이 필요하다. 앵글로색슨 모델을 채택하고 있는 덜 개발된 다른 나라들로는 인도나 중국ㆍ브라질 등도 있는데 이런 상황도 한국이 어떤 방향으로 또 얼마나 빨리 움직여야 하는지 가르쳐주는 또 다른 강한 동기를 부여한다.
한국이 고려해야 하는 두번째 요소는 한국의 규제체제가 자본의 수출입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다. 한국 자본모델은 수입면에서 자유롭고 개방적이지만 수출에서는 제한적이다. 이는 국내에서 해외의 잉여저축을 흡수할 수요를 갖고 있을 때만 그럭저럭 작동한다. 국내의 저축이 과잉될 때는 작동하지 않는다. 오늘날 한국에는 자국 내에서 필요로 하는 것보다 더 많은 금융자산이 만들어지고 있다. 잘못된 자본 수출입 정책들이 부작용을 부르고 있다. 부동산 거품과 원화 고평가, 자본 역동성 부족 등과 관련된 주기적인 발작은 이런 잘못된 자본 흐름 규제체제 때문에 나온다. 만약 한국이 경쟁적인 금융산업을 원한다면 역동성을 가로막는 장애의 원인부터 제거해야 한다.
자통법 제정 이후에도 한국에는 해결해야 할 중요한 일들이 많이 있다. 이번 법률은 한국이 자국의 경제를 발전시키기 위해 금융산업에 어떤 역할을 짊어지게 할지에 대한 더 깊고 실질적인 논쟁과 반성을 유발할 수 있는 촉매로 작용해야 한다. 만약 자통법이 금융산업의 변화에 대한 더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킨다면 그때서야 이 법률을 만드는 데 투입된 노력이 성공적이었음이 판명될 것이다.
☞ 영어원문 내용
Beyond the Capital Markets Integration Act
It looks like the final part of the Capital Markets Integration Act is going through the legislative steps. This legislation carries a tremendous importance not only for the Korean financial market but for the Korean economy. In a way, this legislation by itself will not alter the course of the Korean financial markets that dramatically, bu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this legislation signifies can transform the economic growth supporting industry into a growth leading industry. The magnitude of the importance of this legislation can be compared to Korea deciding to focus on exports and manufacturing as a growth engine some 40 years ago. This legislation can act as a catalyst to usher in a new era of the Korean economic development and create a globally competitive financial industry.
To use this legislation as a spring board to the further development of the financial industry is to view correctly the significance of the act. The content of the law is not what is important but the direction of the financial market development the act signifies is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the Act. In order to accomplish the goals stipulated in the legislation, Korea should continue to view this legislation as a beginning of a transformation rather than an end of a phase.
There are many tasks that lie ahead for Korea beyond this legislation. From a conceptual point of view, two main ones are highlighted below. If Korea answers the following two issues, a further clarity will emerge as to what Korea needs to do beyond the Capital Markets Integration Act.
First is the financial sector architecture. In the developed global economy, there are different financial sector architectures. Mainly, there are Anglo-Saxon model used by the US and Europe and the Japanese model. The main difference is how each views control over development of the financial industry. The Anglo-Saxon model allows for a more free development and views the benefit of the positive evolution of the financial market and movement of capital out-weighing the negatives of the lack of the government control over the financial market. On the other hand, the Japanese model is much more heavily regulated where the government controls many macro and micro aspect of the financial market activity and development. The Anglo-Saxon model has been tested with the following events over the past twenty years: 1987 stock market crash, savings and loan crisis, the Gulf Wars I and II, LTCM crisis, and various exogenous shocks like Asia, Latin America and Russia financial crisis. In spite of these events, the Anglo-Saxon model has thrived. It has become an industry that acted as a facilitator of one of the biggest wealth creating period the modern economic history has seen. On the other hand, the Japanese model has yet to emerge as a growth generating financial system. It is still playing mainly the role of a support industry for the manufacturing sector. Korea needs to decide which model it wants.
There are two other countries, other than Japan, that has the "Japan model" architecture for the financial sector. They are Korea and Taiwan. Ironically, these two countries have the biggest gap between the financial market developments relative to the overall economic development. The empirical evidence so far tells us that the "Japan model" does not generate a dynamic and growing financial industry. If Korea decides that the "Japan model" is not the right model for its financial industry development, there are many things Korea need to do beyond the Capital Markets Integration Act. It needs to act quickly and decisively. There are other less-developed countries that are embracing the Anglo-Saxon model for its financial sector development—mainly India, China, and Brazil. This development should be a strong motivation for Korea to review and decide which direction and how fast it wants to move.
The second factor that Korea needs to think about is how Korea's regulatory framework impacts the "exports and imports" of capital. Korea has a liberal and open "imports" of capital model and has a restrictive "exports" of capital model. This works when there is a need for additional savings from abroad to develop an economy but does not work when there is excess savings locally. Today, there is more financial wealth in Korea than Korea needs locally. The longer this wrong "exports and imports of capital" regulatory policy stays in place, the likelihood of larger and more frequent negative symptoms of the mis-aligned policy will emerge. The periodic bouts with the real estate bubbles, the Korean won becoming overvalued, and the lack of the financial sector dynamism can be all traced to the "wrong" capital flow regulatory framework. Once again, Korea needs to decide what it wants. If it wants a globally competitive financial industry, it needs to un-block one of the cause that is preventing the local industry from becoming more dynamic.
Beyond the Capital Markets Integration Act, there are still many key tasks and issues Korea needs to attack. This legislation should act as a catalyst to ignite a much deeper and practical soul searching and debate for Korea on what it wants its financial industry to do for its economic development. If this act brings further debate on the transformation of the financial industry, only then, the efforts that went into the Capital Markets Integration Act will be a success.
입력시간 : 2007/07/08 17:01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