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 인상 시기를 놓고 심각한 의견충돌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일부 매파의 오는 6월 조기 인상 필요성 제기에도 불구하고 시기를 내년으로 미뤄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왔기 때문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 같은 연준 분위기와 최근 경제지표 부진 등을 종합해볼 때 일각에서 유력하게 제기됐던 ' 6월 금리 인상 가능성'은 사실상 힘을 잃었다고 분석했다.
연준이 8일(현지시간) 공개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지난달 정례회의 회의록에 따르면 몇몇 연준 위원들은 "6월이 금리 인상의 적기가 될 것"이라고 주장한 반면 다른 위원들은 "올해 말"이 돼야 금리 정상화를 위한 조건이 마련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히 위원 2명은 "2016년이 돼야 인상이 필요해질 것"이라는 의견을 냈다.
앞서 연준은 지난달 회의 뒤 내놓은 성명에서 금리의 향방을 가리키는 선제지침(포워드가이던스)인 '(금리 인상 전) 인내심을 발휘할 것(be patient)'이라는 문구를 삭제했고 시장은 이를 올 6월 금리 인상을 암시하는 신호로 읽었다.
그러나 이날 회의록 공개로 내부 의견차가 확인되면서 글로벌 금융위기 해결을 위해 지난 2008년 12월 이후부터 유지해온 미국의 제로성 기준금리(0~0.25%)가 언제 정상화될지는 다시 안갯속에 빠져들었다고 전문가들은 진단했다.
특히 회의록에서 '6월 이후'로 금리 인상 시점을 주장한 연준 위원들은 최근 저유가에 기인한 에너지 가격 약세 및 달러화 강세에 따른 수입물가 하락 등의 영향으로 현재의 저인플레이션 국면이 상당기간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근거로 내세웠다. '물가가 목표치(2%)를 향해 가고 있다는 합리적 확신이 있어야 한다'는 연준의 또 다른 금리 인상 조건을 현재로서는 충족시키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3일 미 노동부가 '고용 쇼크'라는 말이 나올 정도의 부진한 고용지표를 내놓은 것도 미국 통화정책 정상화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WSJ는 전했다. 당시 발표된 지난달 비농업 부문 신규고용 건수가 12만6,000건으로 1년1개월 만에 20만건을 밑돈 것과 관련해 윌리엄 더들리 뉴욕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이날 로이터와의 인터뷰에서 "연준이 6월 행동(금리 인상)에 나서는 데 있어 장애물이 더 높아졌다고 보는 게 합리적"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