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민주회복통일촉진국민회(한민통)는 1973년 8월 결성대회를 갖고 김대중을 의장으로 뽑았다. |
|
SetSectionName();
[DJ 서거] '미완의 숙제'로 남은 통일의 꿈
유신때부터 수차례 고초 겪고도 '대북포용' 평생의 신념 꺾지않아북핵사태 이후로 남북관계 급랭 3단계 통일론·햇볕정책 빛 바래
홍병문 기자 hbm@sed.co.kr
한국민주회복통일촉진국민회(한민통)는 1973년 8월 결성대회를 갖고 김대중을 의장으로 뽑았다.
ImageView('','GisaImgNum_1','default','260');
김대중 전 대통령의 정치 여정은 남북 통일을 향한 기나긴 행군이었다.
지난 1954년 정치에 입문한 뒤 남북 통일을 향한 발걸음을 멈추지 않았던 그는 정치 여정의 결정적인 순간마다 용공 시비에 몰려 고초를 겪어야만 했다. 하지만 3단계 통일론과 대북 포용정책에 대한 확고한 신념은 그를 남북정상회담으로 이끌었고 역사 속에 그의 이름을 남북 화해협력의 물꼬를 트는 선구자로 새기게 했다.
그가 남북문제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해방 정국 때 몽양 여운형이 좌ㆍ우익을 망라해 구성한 건국준비위원회(건준)에 참여하면서부터다. 당시 남로당 간부와의 비밀자금 거래와 관련해 투옥되는 수난을 당했지만 단순한 대부관계로 드러나 용공혐의가 벗겨졌다. 6ㆍ25전쟁 직후에는 북한군에 잡혀가 우익반동이라는 이유로 투옥됐다 총살 직전 탈옥하기도 했다.
정치권에 입문한 뒤 그는 1971년 신민당 대선후보로 나서 박정희 대통령과 맞붙어 아쉬운 패배의 잔을 마신다. 이후 그의 정치 역정은 색깔 논쟁에 휩싸이면서 가시밭길 행군이나 마찬가지였다.
박 정권은 그를 최대 정적으로 간주하며 정치적 탄압 공세를 퍼부었고 용공이라는 꼬리표를 붙이기 시작했다.
1972년 신병 치료차 일본에 체류하고 있던 김 전 대통령은 이듬해 유신이 선포되자 귀국을 포기하고 반체제단체인 한국민주회복통일촉진국민회(한민통)를 결성하며 반유신 활동을 전개한다. 이 한민통 활동은 이후 사회주의에 공조한 것 아니었느냐는 비판과 함께 좌익으로 몰리게 하는 단골 소재가 됐다.
김 전 대통령의 통일정책은 1970년대 야당지도자 때부터 주장해온 '남북연합→연방제→통일국가'를 골격으로 하는 3단계 통일론으로 압축된다.
그의 통일론이 빛을 발한 것은 대통령에 취임한 1998년 이후였다. 당선 직후 그는 북한의 도발 불용 등 대북 3원칙을 천명하면서 햇볕정책을 과감하게 실천으로 옮겼다.
그는 재임기간 북한 잠수정 침투와 금강산 관광객 억류, 제1연평해전 등으로 난관에 부딪히기도 했지만 대북포용 정책 기조는 포기하지 않았다. 오히려 2000년 3월 남북간 협력 수준을 민간에서 정부로 진전시키겠다는 베를린선언을 하고 그해 6월 분단 반세기 만에 남북정상회담을 성사시켰다. 온 국민의 염원이었던 이산가족상봉과 금강산관광도 실현됐다.
이 공로로 한국인으로서는 처음으로 노벨평화상을 수상했고 햇볕정책은 2003년 참여정부 출범 후에도 계승, 발전되면서 2007년 제2차 남북정상회담으로 이어졌다.
하지만 퇴임 후 제1차 남북정상회담 직전 현대가 4억달러, 정부가 1억달러를 북측에 몰래 건넨 사실이 밝혀진 데 이어 2006년 북한의 핵실험이 뒤따르면서 그의 햇볕정책과 통일론은 결국 빛이 바랜 채 결국 미완의 숙제로 남게 됐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