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비자금' 불똥 일파만파

계열사 부채 탕감위한 전방위 로비 속속 드러나
연원영 前캠코사장 체포

'현대차 비자금' 불똥 일파만파 계열사 부채 탕감위한 전방위 로비 속속 드러나연원영 前캠코사장 체포 임석훈 기자 shim@sed.co.kr 현대차그룹 비자금 사용처 수사의 불똥이 일파만파로 번지고 있다. 박상배 전 산업은행 부총재와 변양호 전 재정경제부 금융정책국장이 구속된 데 이어 연원영 전 자산관리공사(캠코) 사장 등이 체포되면서 현대차그룹이 계열사의 부채를 탕감받기 위해 전방위로 펼친 로비의 실체가 드러나고 있다. 잇따른 관ㆍ금융계 인사의 체포는 지난 2002년과 2003년 현대차그룹 계열사로 각각 편입된 위아와 아주금속 등의 부실채권 탕감 과정에서 김동훈 전 안건회계법인 대표 등을 통한 로비가 광범위하게 진행됐음을 시사한다. 현대차그룹의 로비 창구로 활동한 것으로 알려진 김동훈씨가 받은 로비자금 41억여원 가운데 지금까지 용처가 확인되지 않은 게 20억여원에 달해 검찰 수사가 진행될수록 관ㆍ금융계에서 사법처리 대상자가 계속 나올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특히 김씨가 재판에서 고위 경제관료를 통해 채권 금융기관 등에 청탁을 의뢰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져 주목된다. 위아와 아주금속은 현대차그룹에 편입되기 전 약 2,000억원의 채무가 있었다. 검찰은 현대차가 편입 과정에서 채무탕감을 위해 김씨 등을 동원, 로비를 벌인 것으로 보고 있다. 김씨는 현대차로부터 비자금 41억여원을 로비자금과 성공보수 명목으로 받고 로비스트 역할을 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김씨의 로비 덕분인지 채무 가운데 550억원에 대해 탕감이 이뤄졌다. 연 전 사장 등이 금품을 수수한 시점은 이때로 추정된다. 산업은행이 위아에 대해 보유하고 있던 담보채권 1,000억원 중 205억원이 탕감되는 과정에서 박 전 산은 부총재와 연 전 사장 등에 로비가 이뤄졌을 것이라는 추론이 가능하다. 산업은행은 2002년 이 채권을 캠코에 1,000억원을 받고 팔았다. 채권은 담보가 확실한 채권이어서 급히 매각할 필요는 없었다. 캠코는 자산유동화회사(SPC)를 통해 자산유동화증권(ABS)을 발행해 현금화했으나 채권을 일반인으로부터 회수해 산업은행에 되팔았다. 캠코가 산업은행에서 채권을 매입할 때 채권을 언제든지 다시 팔 수 있는 조건(풋백옵션)을 붙였기 때문이다. 산업은행은 채권을 기업구조조정회사인 '신클레어'에 795억원에 팔았고 위아는 이 채권을 수수료를 포함해 851억원에 되샀다. 그 결과 위아 채무 205억원이 탕감됐다. 한편 연 전 사장의 체포 소식에 캠코 직원들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 캠코의 한 직원은 "연 전 사장이 감사원 감사는 물론 여러 차례 검찰 조사를 통해 계좌추적을 모두 받았는데 또다시 이런 일이 생기다니 믿을 수 없다"고 말했다. 입력시간 : 2006/06/21 17:16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