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심 ‘새우깡’에서 생쥐머리로 추정되는 이물질이 발견됐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식품 안전이 다시 도마에 올랐다. 그동안 식품회사들은 식품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HACCP) 인증은 물론 자체 식품안전센터를 설치해 운영하는 등 식품 안전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을 누누이 강조해왔다.
하지만 ‘국민스낵’으로 불릴 정도로 큰 사랑을 받았던 새우깡에서 이물질이 발견되면서 소비자들은 이제 식품회사들에 대해 불신을 넘어 배신감마저 느끼고 있다.
소비자들은 제품에 이물질이 들어간 것도 문제지만 이 같은 사실을 알고도 제품을 그대로 유통시킨 농심의 대응방식에 더 분노하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정확한 조사결과가 나온 뒤에야 조치를 취한다는 것이 농심의 입장이었겠지만 이는 국내 굴지의 식품회사로서의 책임감과는 거리가 멀다.
더욱이 소비자제보를 받은 시점에 이미 많은 양의 제품이 판매된 뒤라 회수가 힘들었다는 회사 관계자의 말은 소비자들의 공분을 자아내기 충분했다.
농심이 뒤늦게 대고객 사과문을 발표하는 한편 해당 제품을 전량 폐기하고 정확한 원인이 규명될 때까지 생산을 전면 중단하기로 했지만 사후약방문격이다. 대형마트와 편의점 등 유통업체들은 문제가 된 노래방 새우깡뿐 아니라 농심의 다른 공장에서 생산된 일반 새우깡까지도 판매 중단에 들어갔다.
한 편의점은 아예 진상이 밝혀질 때까지 농심의 스낵 전제품을 받지 않기로 했다. 농심이 자체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문제가 된 기간의 제품 생산분을 진작에 회수해 폐기했더라면 이 정도로까지 사태가 확대되지 않았을 것이다. 호미로 충분히 막을 것을 가래로도 못 막게 된 것이다.
한 소비자단체에 따르면 지난해 8월부터 올 1월까지 접수된 가공식품 이물질 신고건수는 1,000건이 넘는다고 한다. 새우깡이 아니더라도 식품 안전 논란의 주역(?)이 될 수 있는 제품이 매장에 널려있는 것이다. 식품업체들이 안전성 제고를 위해 한층 더 노력을 기울인다고 하더라도 ‘제2의 새우깡’이 또 생겨날 수 있다.
이런 일이 없어야겠지만 혹 발생하더라도 농심처럼 덮으려고만 하지 말고 솔직하게 잘못을 인정하고 신속하게 제품을 회수ㆍ폐기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이번 새우깡 파동은 식품 안전에 대한 식품업체의 노력이 한층 강화되고 위기대응 방식에도 변화를 가져오는 계기가 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