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엔지니어링 발전방향 "한국 시공분야 경쟁력 있지만 수익성 낮고 위험 "2020년까지 전문인력 2,000명 양성 계획 200여개 中企 입주 가능한 '콤플렉스'도 건립
입력 2010.04.28 18:02:03수정
2010.04.28 18:02:03
정부가 20년 만에 엔지니어링 관련법을 뜯어고치고 5년간 1조원을 기술개발에 쏟아붓겠다고 나선 것은 껍데기만 만드는 엔지니어링은 위험하기만 하고 수익성이 낮아 속 빈 강정이 될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특히 중국 등 개발도상국이 시공 분야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 기업이 선진국의 핵심기술을 따라잡지 못할 경우 설 자리가 없어질 것이라는 우려도 작용했다.
세계 엔지니어링 시장 규모는 매년 17%의 고성장을 이어가면서 지난 2008년 1,167억달러로 커졌다. 여기다 중동ㆍ중남미ㆍ동남아 등 신흥시장의 사회간접자본(SOC)과 산업설비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다.
플랜트 등 엔지니어링을 크게 '기본 설계–시공–사후관리'의 3단계로 나눌 경우 기본설계 분야가 수익성이 가장 높지만 해외 선진업체가 독점하고 있는 실정이다. 시공 분야는 우리 기업이 경쟁력을 갖고 있지만 수익성이 낮다.
실제로 국내 기업이 대형 10대 프로젝트에서 수주한 금액 비중은 18%이지만 대부분이 시공 등 저수익ㆍ고위험 분야다. 기본설계 등 고부가가치 분야에 대한 우리 기업의 기술수준은 선진업체의 60% 수준에 불과하다. 고부가가치 영역의 세계시장 점유율은 0.4% 수준으로 중국(2.7%)이나 일본(1.4%)보다도 뒤처져 있다. 고부가가치 시장은 미국 등 선진 5개국이 80%를 차지한다.
그래서 정부가 오는 2020년 세계 7대 엔지니어링 강국이 되기 위한 대책을 내놓은 것이다. 엔지니어링 핵심 기술역량 강화를 위해 15개 전략 프로젝트를 발굴해 2015년까지 총 1조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산ㆍ학ㆍ연 및 대ㆍ중소 컨소시엄을 구성해 세계 최고 수준의 프로젝트를 개발하겠다는 것. 정부는 전략 분야 후보군으로 녹색성장선도 분야인 탄소포집ㆍ저장과 수처리 기술, 해외시장 선점을 위한 원자력과 태양광ㆍ풍력 분야 등을 염두에 두고 있다.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경험축적에도 나선다. 지금까지는 건설에 기반을 둔 엔지니어링을 해왔지만 앞으로는 엔지니어링에 기반을 둔 건설을 해나가기로 하고 내년에 신재생, 건설ㆍ플랜트 분야에서 시범적으로 추진한다.
내년 상반기 중에 공과대학원 중 두 곳을 선정해 2020년까지 2,000명의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재교육을 통해 실무형 현장인력 5만명을 키울 계획이다. 중소업체 간 협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200여개의 중소기업이 입주할 수 있는 엔지니어링 콤플렉스도 건립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