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해가 거의 다하는 이 시점에 아르헨티나에서는 세계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가 열리고 있다. 지난 11월 내내 서울에서 영하의 추위를 겪지 않을 만큼 더워지는 지구 환경은 대기 중 이산화탄소 증가 등 인류활동의 여파에 기인한다.
72년 스톡홀름회의 이후 세계적으로 환경과 경제가 조화된 발전을 추구하고자 애쓰고 있는데 실질적 내용은 개발과 성장을 적정수준으로 억제하자는 것이다. 여러 가지 환경라운드가 생겨나 개별국가에는 환경이 산업이나 교역을 규제하게 됐다. 우리도 국민생활은 물론 기업 경영에 환경을 최우선 필수요소로 받아들여야 하게 됐다.
경쟁력이 생산성이나 품질에 전적으로 좌우되던 시대는 끝나고 환경성과 사회적 책임성에 큰 영향을 받는 새로운 패러다임에 직면하게 됐다. 경제와 환경의 상생을 지향한 ‘환경 경영’ 전략이 불가피하게 된 것이다. 정부도 21세기 핵심기술개발 정책에 환경기술(ET)을 포함시켜 기술적 뒷받침에 적극 나서고 있다.
그리고 정부와 업계, 전문가, 관련 민간단체들이 함께 마련한 환경 경영을 위한 방침과 정책방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첫째, 공공기관과 업계의 협의를 거쳐 환경 측면의 목표를 설정하고 자율적 협약(voluntary agreement)을 채택, 추진한다. 환경 부문 성취가 우수한 기업은 그에 따라 환경친화기업으로 지정해 마케팅을 돕기도 한다.
둘째, 환경회계(green accounting)와 환경성과 평가제를 도입하는 것이다. 환경요소에 들어가는 비용과 그로부터 얻는 편익을 가치화함으로써 친환경적 기업활동을 촉진하자는 것이 전자이다. 후자는 환경적 성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분석해 기업과 상품의 환경성을 향상시키자는 것이다. 기업환경보고서는 그 결과의 한 예라 하겠다.
셋째, 친환경 소비(green consumption)를 돕는 것이다. 제품의 환경성을 인증하기 위해 환경 마크나 환경성적 표지를 부여한다. 생산ㆍ유통ㆍ소비과정에 관련된 단체가 녹색상품 구매 네트워크(GPN)를 결성하고 친환경 상품ㆍ서비스의 보급을 돕기도 한다. 그리고 제품의 설계단계에서부터 환경친화적 기법(Design for Environment, eco-design)을 적용하기도 하며 소비 이후의 폐기물을 최소화하고 재활용(recycling)을 극대화한다.
기업체 임직원이 환경 관련 소양교육을 받고 환경기술을 개발ㆍ도입ㆍ실용화해나가야 한다. 정부도 각종 국제협약과 세계시장 추이에 맞춰 기업이 대응할 수 있도록 지침을 제때 제시하고 중소기업에까지 지도에 성의를 기울여야 한다. 아울러 환경경영ㆍ국제교역에서의 환경경쟁력 강화를 돕는 차원에서 정보와 자료를 원활하게 제공해야 한다. 환경관리공단이 운영하는 국가환경정보서비스(konetic)는 좋은 예라고 본다.
교역에 걸림돌이 되기도 하고 촉진제가 되기도 하는 환경은 칼의 양날과 같다. 대비하고 노력하지 않으면 새롭게 우뚝 선 높은 벽이 될 수 있다. 이제는 기업의 인수합병(M&A) 때 환경성이 최대의 쟁점항목으로 떠오르고 있다. 소재와 공정, 수질ㆍ대기ㆍ토양오염 정도, 폐기물의 처리와 발생량, 환경법규 위반사례, 환경 관련 민원 등에 대한 정확한 평가와 책임 획정이 참으로 중요한 것이다.
날로 늘어나는 환경 관련 규제를 성실하게 극복하는 기업에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오히려 세계적 성장에 이롭게 작용할 것이다. 아직 늦지 않은 지금부터 우리 기업과 사회가 환경 경영을 확실하게 수행해나가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