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핵협상 타결…핵개발 중단·추후 제재 해제

미국 등 주요 6개국과 이란은 2일(현지시간) 이란 핵협상과 관련한 잠정 합의안을 마련하는 데 최종 합의했다.

스위스 로잔에서 마감 시한인 지난달 31일 자정을 넘겨 이날까지 이틀간 마라톤협상을 계속해온 이란과 주요 6개국(P5+1·유엔 안보리 5개 상임이사국과 독일)은 이번 합의안을 토대로 6월 30일까지 세부적이고 포괄적인 사항에 대한 최종 합의에 도달하기 위해 계속 협상할 예정이다.

페데리카 모게리니 유럽연합(EU) 외교안보 고위대표는 이날 이란과의 공동성명을 통해 이란 핵협상의 결정적 전기가 마련됐다며 이같이 발표했다.

모게리니 고위대표는 “이란 포르도 핵시설에 어떠한 핵분열 물질도 반입하지 않기로 하는 등 주요 쟁점에 대한 절충안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그는 또 “국제 합작회사가 이란의 아라크 중수로 발전소를 설계변경하는 것을 지원하게 되며 앞으로 미국 등 주요 6개국과 이란의 핵 관련 협상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보증을 받게 된다”고 설명했다.

잠정 합의안에 따르면 이란은 우라늄 농축을 위해 현재 가동 중인 1만9,000 개의 원심분리기를 6,104개로 줄이기로 했다.

이 가운데 5,060기는 나탄즈에서 상업용(핵연료봉 제조용) 생산에 쓰이고 나머지 1,044기는 포르도 지하 핵시설에서 연구용으로 사용된다.

원심분리기를 감축함으로써 ‘브레이크 아웃 타임’(핵무기 제조를 결심한 시점부터 핵물질을 확보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늘릴 수 있다.

이란은 아울러 향후 15년간 저농축 우라늄(LEU) 재고를 현재의 1만㎏에서 300㎏의 3.67% LEU로 감축하고 3.67% 이상의 LEU를 생산하지 않는 것은 물론 우라늄 농축 목적의 신규 시설도 더는 건설하지 않기로 했다.

이와 함께 여분으로 남게 되는 모든 원심분리기와 핵 농축시설은 유엔 산하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보관하고 이를 대체물로만 사용하게 된다.

아울러 IAEA가 이란이 핵 관련 핵심 조치를 취했다는 점을 검증할 때까지 국제사회의 제재는 유지하기로 했다.

이란 무함마드 자바드 자리프 외무장관은 “포르도 핵시설은 아니더라도 이란은 나탄즈 핵시설에서 원자력 기술 연구·개발(R&D)을 위한 우라늄 농축을 계속하게 된다”면서 “유엔 안보리의 (대이란 제재를 위한) 결의안은 최종 합의문이 나오는 대로 종료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이란이 앞으로 세계 원유시장에 참가하게 될 것이라며 원하는 포괄적 합의라는 목표에 도달하려면 아직 약간의 시간이 더 남았다고 덧붙였다.

특히 이번 핵 합의와 미국과의 양국 관계는 무관하다고 덧붙였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이날 오후 백악관에서 특별성명을 발표하고 이번 협상으로 이란의 핵개발을 막을 수 있게 됐다면서 “역사적인 합의”라고 자평했다.

그는 “이번 합의는 전례 없는 ‘검증’을 토대로 하고 있어 이란이 (합의사항을) 위반하려고 한다면 세상이 바로 알게 돼 있다”며 “아직은 (군사해법보다) 외교적 해결책이 최선”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번 협상을 강력하게 반대해온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에게도 전화를 하겠다고 덧붙였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이번 합의가 중동 정세 안정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환영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