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또다시 기준금리를 내리지 않았다.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는 "국내 경기가 추가 악화되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은 변함이 없다"며 다시 한 번 낙관론을 꺼냈다.
경기불안 요인이 추가로 불거지지 않는 이상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낮음을 시사한 셈인데 일본의 양적완화 등에 개의치 않고 '우리만의 통화정책'을 밀고 나가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경기 흐름이 여전히 불투명하고 선진국의 동시다발적인 양적완화 기류에서 '나홀로 정책'을 고집하는 김 총재의 기조가 낳을 영향에 대해 우려를 보내는 시각도 상존한다.
한국은행은 14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2.75%로 유지하기로 했다. 이로써 기준금리는 지난해 10월 이후 넉 달째 제자리를 유지했다. 금통위는 지난해 7월, 10월 두 차례에 걸쳐 각각 0.25%포인트씩 금리를 내렸다. 김 총재는 "경기가 완만하게나마 개선되는 추세"라며 "이미 금융완화 기조이고 추가로 내려야 완화되는 게 아니다"고 말했다.
한은이 금리를 동결한 것은 국내 경기가 점차 개선되고 있다고 봤기 때문이다. 지난 1월 수출은 중국ㆍ동남아의 수출이 호조세를 보이면서 전년 동월 대비 11.8% 증가했다.
김 총재는 최근 선진국의 양적완화에 대해 "신흥경제권 시장을 교란하고 국제 원자재가를 올리는 부정적 영향이 있지만 세계경제 회복으로 교역이 늘어나는 긍정적 영향도 있어 득과 실을 따져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나라는 지정학적 위험이 있고 경제발전에 비해 경제개방 정도가 넓고 성장을 무역에 의존하는 나라라 득보다 실이 많다"면서도 "우리나라는 금리와 환율의 관계가 다른 나라에 비해 뚜렷하지 않다"고 말했다. 환율 때문에 금리를 움직일 가능성에 대해 부정적 의견을 피력한 것이다. 김 총재는 "과거와는 달리 통화정책의 국제공조가 중요해졌다"며 "어느 나라 중앙은행이든 혼자 결정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도 했다.
하지만 이번 금통위의 금리결정은 지난달에 이어 만장일치가 아니었다. 이에 따라 시장에서는 금통위가 새 정부 출범 이후 금리인하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이에 대해 김 총재는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을 공조한다는 것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가면 적절하지 않다는 뜻"이라며 "새 정부 들어오니까 타이밍을 맞추기 위해 한은이 해야 할 의사결정을 뒤로 늦춘다는 의미는 아니다"고 반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