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들이 사업구조 재편, 인력 재배치, 비용절감 등 구조조정에 앞 다퉈 나서고 있다. 생산과 영업활동, 조직의 효율성과 경쟁력을 높여 급변하는 경영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경영여건이 그만큼 좋지 않다는 반증인데다 구조조정이 경기를 더욱 위축시키는 악순환을 불러올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마냥 반길 수만은 없다. 특히 구조조정에 나선 기업들이 우리 산업과 경제를 선도하는 기업이라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삼성전자는 경영지원 부서의 인력을 영업 부문으로 재배치하기로 한 데 이어 저가형 청소기의 생산을 말레이시아로 이관하는 등 생활가전 부문의 사업 구조조정에 들어갔다. 삼성은 수익성 없는 품목의 구조조정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LG전자는 본사 관리ㆍ지원 부문 인력의 20~40%를 각 사업 부문으로 전환 배치하기로 했다. 롯데그룹도 유화 부문 3사의 조기 통합, 백화점 부문의 본사조직 통폐합 등으로 관리ㆍ지원인력을 대거 줄여 생산현장과 영업현장으로 돌릴 방침이다. 현대자동차도 비용절감에 안간힘을 다하고 있으며 상황이 악화될 경우 비상경영 체제에 돌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기업들은 본능적으로 환경변화에 민감하다. 그렇지 못하면 성장은 물론 생존조차 위태롭다. 환율하락ㆍ고유가 등으로 실적이 2년째 내리막길을 타고 있는 상황에서 기업들의 구조조정 움직임은 어찌 보면 당연한 현상이다. 문제는 “5~6년 뒤 우리 경제가 큰 혼란에 빠질 수 있다”는 이건희 삼성 회장의 발언이 말해주듯 앞으로도 상황 개선을 크게 기대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기업들의 긴축기조 지속은 투자와 고용사정 악화로 이어져 경기침체 심화와 성장 잠재력 약화를 부를 게 뻔하다.
우리 경제가 그런 상황으로 빠져들어서는 안 된다. 이를 위해서는 모든 경제주체가 경각심을 갖고 힘을 모아야 한다. 기업은 기존 사업의 경쟁력 강화와 신수종 사업 발굴을 적극 추진해야 하며 정부는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 기업가 정신과 기업의 창의적 활동을 지원해야 한다. 기업들의 위기의식을 ‘호들갑’으로 일축해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