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언대] 융합기술 강국이 되는 선결 조건


산업융합은 기존 산업과 첨단산업, 첨단기술과 첨단기술 사이 기술의 경계를 넘나들면서 지식ㆍ기술ㆍ서비스가 접목되는 것을 뜻한다. 특히 기존 산업의 경쟁력을 유지하면서 다양한 신기술, 신제품을 창출할 수 있어 그 부가가치가 천문학적 시장 규모에 달한다.

컨설팅업체인 딜로이트에 따르면 산업융합 시장은 오는 2018년 61조달러라는 거대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될 정도로 글로벌 경제의 메가트렌드로 자리 잡았다. 우리 정부도 제1차 산업융합발전기본계획(2013~2017년)을 마련하는 등 융합기술 육성을 통해 새로운 산업을 키우고 주력산업을 고도화하는 연구개발(R&D) 정책을 추진ㆍ지원하고 있다.

융합시장을 놓고 세계 각국이 치열하게 경쟁하는 상황에서 융합제품을 인증할 수 있는 인증체계를 마련하는 것은 가장 시급한 과제다. 그런데 기존 제품들의 조합으로 하이브리드형 융합제품을 만들거나 전혀 새로운 기능의 퓨전형 융합제품을 만드는 경우 현재의 인증방법으로는 제품의 성능을 시험ㆍ평가하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기존 시험평가 방법이 융합제품 특성에 맞도록 이뤄져야 한다.

최근 지식경제부는 중소ㆍ중견기업의 산업융합 신제품 개발촉진을 위해 산업융합촉진사업 신규과제를 공고, 하반기에 사업자 선정을 끝내고 개발에 착수할 계획이다. 정부 R&D 예산 40억원이 투입되는 이 사업은 라이프케어형 융합제품, 발광다이오드(LED) 조명시스템, 다기능 트럭지게차, 수상 이동형 무인 센서시스템 등에 대한 인증기술 개발을 중점 지원한다.

이번 신규과제는 융합기술을 바탕으로 기술ㆍ제품ㆍ지식ㆍ서비스 등의 다양한 부가가치를 한 차원 높이며 신산업을 창출하거나 새로운 원천기술을 창조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전통산업을 고도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도 전망된다.

기술융합ㆍ제품융합ㆍ지식융합ㆍ서비스융합이 성공하려면 무엇보다 분야별, 영역별 벽을 허물고 기술의 경계를 넘나들면서 다양한 인증기술 개발 지원이 중요하다. 이번 산업융합촉진사업을 통해 국내 전산업 분야에서 다양한 융합제품 개발과 인증규격이 마련돼 융합기술 강국의 초석이 되기를 희망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