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들이 대부업을 이용하는 목적이 과거 비제도권 시절 빚 돌려 막기에서 제도권에 편입된 현재 가계 생활자금 조달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덕배 소비자금융연구소 박사는 23일 한국대부금융협회 주최로 제주도에서 열린 '2014소비자금융 컨퍼런스'에서 '등록 대부업의 서민금융 역할과 순기능'이라는 주제로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1년에 한 번씩 대부업계의 현안 과제를 주제로 열리는 소비자금융 컨퍼런스에는 올해 주요 대부업체 대표 50여명과 금융당국·지자체·학계에서 약 100여명이 참석했다.
박 박사가 대부업법이 제정되면서 대부업이 제도권으로 흡수되기 시작한 2002년 당시와 현재를 비교한 결과 대부업의 양성화가 빠른 속도로 이뤄진 것으로 분석됐다.
사금융 시기인 2002년 금융감독원 사채이용자 대상 설문조사에 따르면 대부업 사용자의 50.4%가 기존 채무상환을 하기 위해 대부업을 찾았다. 병원비나 교육비 등 생활자금은 26.5%에 그쳤고 사업자금은 16.3%였다. 반면 올해 5월 한국대부금융협회 대부금융이용자 설문조사결과 가계 생활자금 용도로 대부업체를 이용한 고객이 61%로 압도적이었고 기존대출금 상환은 18%로 크게 줄었다. 상환 불능 비율은 2006년 26%에서 2010년17%, 올해 2%대로 눈에 띄게 낮아졌다.
이용자의 직업을 분석한 결과 2002년 사금융 시기에는 회사원이 34.5%, 자영업자 31.4%, 주부 10.7%, 무직 8.5% 순이었지만 현재는 회사원이 52%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자영업자는 21%로 10%포인트(p)가 줄었다.
박 박사는 "대부업은 2002년 대부업법 시행 이후 사금융 양성화라는 법취지에 맞춰 전통적인 폐혜로 지적받던 고금리·불법추심 등을 빠르게 개선하면서 공백기에 있던 서민금융 시장에 쉽게 진입했다"며 "이용자 계층이 경제활동인구 중심으로 재편되고 자금용도도 기존 채무상환 목적에서 가계생활자금으로 빠르게 대체되는 한편, 부실율도 10% 안팎으로 안정화되면서 서민금융의 중심으로 급성장했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