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의 산업기술인력 부족률이 대기업에 비해 7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 근로자 10인 이상 전국 1만1,155개 사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산업기술인력 수급 실태조사 결과 지난해 말 기준 전체 부족 인원(3만6,383명)의 95.3%가 500인 미만 사업체에 집중됐다. 부족률도 500인 미만 사업체는 3.0%, 500인 이상 사업체는 0.4%로 중소기업이 대기업보다 7배 이상 높았다. 대기업-중소기업간 격차는 1년 전인 2013년도(5배)보다 더 벌어졌다. 산업 기술 인력 부족 인원은 사업체가 생산시설을 가동하고 고객의 주문에 대응하는 등 정상적인 경영활동을 하기 위해 현재보다 더 필요한 인원의 수를 의미하며 부족률은 현재 인원과 부족인원의 합에서 부족인원의 비중을 구한 값을 말한다.
조사에 참여한 기업들은 산업기술인력이 부족한 이유로 △잦은 이직과 퇴직(26.8%) △직무수행을 위한 자질과 근로조건에 맞는 인력 부족(23.9%) 등을 꼽았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퇴사한 산업기술인력은 2013년보다 4.6% 늘어난 13만9,200명이며 이 중 사업체들이 지난해 채용한 직원 중 1년 내 퇴사한 인원은 41.2%(5만8,603명)에 달했다. 특히 500인 미만 사업체의 조기 퇴사율은 44%에 달해 500인 이상 사업체의 조기 퇴사율(25.3%)보다 월등히 높아 중소기업의 인력난이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내년 산업기술인력 채용 예상인력은 올해와 비슷한 수준인 5만2,659명으로 예상되며 기업들은 신입보다 경력직 채용을 선호했다.
김홍주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인력과장은 "산업기술인력은 우리나라의 산업발전과 경제성장에 큰 기여를 해 온 핵심 역량이지만 실태조사 결과 인력난과 구인·구직 간 수급불균형, 중소기업-대기업 간 양극화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산업기술인력 수요 ·공급 구조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근본적이고 종합적인 정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강광우기자 pressk@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