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위원장 바뀌자마자 정치파업 나선 현대차 노조

현대차 노조가 16일 부분파업을 벌였다. 민주노총의 4차 총파업에 동참하기 위해서다. 노조는 전날 3개월이나 중단됐던 임단협 교섭 재개를 위한 노사 상견례를 겉핥기로 치른 뒤 파업을 선언했다. 그것도 노조 집행부가 강경파로 바뀐 지 불과 한달 만이다. 임단협은 안중에도 없고 노동개혁 반대라는 정치적 목적의 파업에만 관심이 있었던 셈이다.

이번 파업을 두고 전임 집행부와의 차별화를 꾀하려는 의도가 숨어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뚜렷한 명분이 없는데도 자신들의 존재감과 영향력을 과시하기 위해 파업을 강행했다는 것이다. 노조 집행부에 대해 노동자를 빙자한 정치꾼이라는 비난이 들리는 이유다. 실제 박유기 신임 노조위원장은 10년 전 집행부를 이끌 당시에도 10여차례의 정치파업을 비롯해 수십번의 파업을 주도한 전력이 있다. 협상은 팽개친 채 파업을 통해 기득권을 지키는데 몰두하는 고질병이 도진 것이다.

강경투쟁 일변도의 노조활동은 국민은 물론 조합원·지역주민들로부터도 외면당할 수밖에 없다. 무엇보다 나라 경제를 들먹이지 않더라도 지금 현대차는 위기상황이다. 노사가 합심해도 모자라는 판에 정치파업을 일삼으면 공멸을 피할 수 없을 것이다. 현대차 노조의 이번 파업은 임단협과 상관없는 엄연한 불법파업이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손실은 전적으로 노조의 책임일 수밖에 없다. 정부와 회사는 민형사상 책임을 철저히 따져 묻고 파업참가자에 대해서도 무노동 무임금 원칙을 확실히 적용할 필요가 있다. 이전처럼 겉으로는 책임 운운하다 시간이 지나면 적당히 타협하는 일을 더 이상 반복해서는 안 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