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수입 디젤차 시장이 30% 가까이 성장했지만 소비자 불만도 덩달아 증가하고 있다. 디젤차에 대한 이해 없이 수입차 열풍에 가세한 소비자와 '팔고 보자' 식의 판매행태를 이어가고 있는 수입차 업체 간의 갈등이 커지고 있는 모습이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디젤차에 장착된 '매연저감장치(DPF)'에 따른 고장과 사고가 급증하고 있다.
실제 지난해 7,000만원에 달하는 아우디 'A5' 디젤 차량을 구입한 서모씨는 DPF로 인해 1년 새 5번이나 서비스센터를 찾았다. 주행 도중 계기판에 '파티클 필터' 경고등이 점등하더니 운행불능 상태에 이르렀다. 결국 아우디코리아 측은 원인을 해결하지 못하고 부품교환에 나섰고 잦은 고장에 불만이 쌓인 서씨는 한국소비자원 등에 민원을 제기하며 환불을 요구하고 있다.
DPF는 디젤차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을 한데 모아 고온으로 태워 없애는 장치다. 오염물질을 60~80%가량 줄여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차량에 장착돼 있다. 단 550도에 달하는 높은 온도로 유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고속주행이 필수다. 서비스센터에 입고된 서씨의 차량 역시 정비사가 인근 대로로 차량을 끌고 나가 인위적으로 고속주행을 시도하는 조치를 반복했을 정도다. 차량 매뉴얼에도 시속 60㎞로 15분가량 주행하면 경고등이 사라진다고 명시돼 있다. 지난해 발생한 폭스바겐 배기가스 조작 사건 역시 DPF와 연관이 있다. DPF 작동 시 배기가스를 줄여주는 대신 연비가 감소한다. 폭스바겐 측은 이를 통제하는 전자제어장치(ECU)를 인증 때만 작동하게 했다.
최근 발생한 BMW 화재 사건 역시 불량 DPF 부품 교체로 발생했다. 수백만원에 달하는 부품 값에 부담을 느낀 소비자들은 공식 서비스센터가 아닌 곳에서 싼값에 부품을 교체하기 일쑤다. 벤츠 등 일부 브랜드를 이용하는 고객들은 인위적으로 차량을 개조해 계기판에 경고등이 점등되는 것을 막기도 한다. 필터 없이 배기가스를 내뿜는 디젤차들이 거리를 질주하는 셈이다.
상황이 이렇지만 수입차 업체들은 "디젤차의 특성일 뿐 교환·환불 대상인 중대결함에 속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아우디코리아 측은 "고속주행을 통해 DPF 탄화물량을 줄이도록 안내했다"며 "고객이 불만을 느낄 수는 있지만 환불 대상에 속하는 결함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차량을 구입하고 한 달 내 중대한 결함이 두 차례 이상 발생하거나 품질보증 기간(2∼3년)에 같은 결함으로 4회 이상 수리를 받는 등의 상황에서 차량을 교환·환불할 수 있도록 법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국토교통부는 최근 자동차 부품 결함이 연간 80만~100만건 정도 발생한 것으로 보고 있다. /박재원기자 wonderful@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