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젊은층 잡아라” … 지역 맞춤형 행복주택시대 활짝

지방자치단체 잇단 러브콜
70곳 3만여 가구 직접시행
도심 시유지·자투리땅 활용
신혼부부에 임대료 지원 등
지역 특화 행복주택 쏟아져

부산시가 약 1,000억원가량의 연제구 시유지의 활용을 20여년 동안 고심한 끝에 2,000가구 규모의 행복주택을 공급하기로 했다. 연제구 행복주택 부지 전경./사진제공=부산시청


# 부산 부경대 건축학과 학생 5명은 지난해 국토교통부에서 개최한 ‘행복주택 국민제안공모전’을 통해 부산 연제구 연산동 시유지(약 2만㎡)를 행복주택으로 개발하는 내용의 제안을 했다. 이 지역은 감정평가금액만 500억원, 시세는 1,000억원이 넘는 부지여서 약 20년 동안 부산시가 개발 방향을 고민하던 곳이다. 국토부와 부산시는 이 제안을 놓고 논의를 한 끝에 지난해 10월 이곳에 행복주택 약 2,000가구를 건설하기로 결론 내렸다. 1,000억원이 넘는 노른자 땅에 임대주택을 짓기로 결정한 것이다.

행복주택이 ‘미운오리새끼’에서 백조로 거듭나고 있다. 과거 정부가 대규모 택지개발을 이용해 임대주택 공급 계획을 세우면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이를 반대하는 여론이 들끓었지만 최근에는 지자체가 행복주택 공급 계획을 자체적으로 수립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이 같은 지자체의 맞춤형 행복주택은 지역 여건을 반영해 공급되기 때문에 지역 주민들에게도 더 큰 호응을 얻고 있다.

<행복주택 기피는 옛말, 지자체 너도나도 모시기 전쟁>

올해 1차로 입주자를 모집한 서울 서대문구 가좌지구 행복주택은 평균 48대1의 청약경쟁률을 기록했다. 사회초년생 우선 공급 1가구 모집에는 2,012명이 신청하기도 했다. 행복주택 청약 정보를 알려주는 ‘행복주택 문자알림 서비스’는 지난 4월 1일 출시 이후 현재까지 약 6만 7,000여명이 신청했으며 현재도 매일 600여명이 추가로 신청하고 있다.

이 같은 인기는 불과 3년 전만 하더라도 생각할 수 없던 변화다. 행복주택 도입 초기 많은 시범사업 지역에서는 주민들이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려 행복주택을 반대했으며 그 결과로 서울 양천구 목동 행복주택지구는 아예 취소됐다.


하지만 현재 전국 232곳, 12만3,000가구 중 25%에 해당하는 70곳, 3만981가구가 지자체·지방공사 직접 시행으로 진행되는 등 행복주택에 대한 지자체의 러브콜이 끊이지 않고 있다. 특히 지자체의 입지확정 규모는 △2014년 6,511가구 △2015년 7,047가구 △2016년 17,360가구로 갈수록 확대되고 있는 모습이다. 국토부는 이달 새롭게 지자체 공모로 추가된 1만가구까지 합하면 올해에만 총 4만여가구의 입지가 확정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지자체가 행복주택에 적극적인 데는 도시가 지속되기 위해서는 젊은 층의 인구 유입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부산시의 한 관계자는 “최근 특별·광역시 중에서 부산이 고령화 사회에 가장 먼저 진입했다”며 “젊은이들에게 투자하지 않으면 이들을 잡아둘 수 없겠다는 위기를 느끼고 있다”고 밝혔다.



<자투리땅 활용·임대료 지원 등…지역 특화형 행복주택 쏟아져>

각 지자체가 행복주택을 직접 공급할 때의 가장 큰 장점은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행복주택을 탄생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실제 경기도의 경우 행복주택의 한 유형으로 ‘따복하우스’를 오는 2020년까지 1만가구 공급하기로 했다. 따복하우스는 신혼부부의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우선 경기도는 2020년까지 경기도 예산 500억원을 투입해 임대료 일부를 지원해주기로 했다. 백원국 경기도 도시주택실장은 “아이를 낳을수록 지원 폭이 높아져 신혼부부의 경우 주변 시세 대비 64%, 한 자녀는 56%, 두 자녀는 40%까지 낮은 가격으로 거주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육아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가구당 3,000만원을 추가로 투입해 투룸형으로 공급하기로 했다. 경기도는 2020년 1만가구 입주를 목표로 현재까지 3,000가구 규모의 입지를 확보한 상태다.

대규모 택지개발이 불가능한 서울시는 자투리땅을 활용해 행복주택을 짓는 방안에 대해 국토부와 함께 연구 중이다. 서울시는 박원순 시장 임기 내 임대주택 8만가구(공공 6만가구·민간 2만가구)를 목표로 지역 여건에 따라 일부 부지에 행복주택을 포함시키고 있다. 현재 서울시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물량인 1만5,533가구의 행복주택사업을 진행 중이다.

이 중 서울 중랑구 신내동 5,432㎡ 일대에 짓는 ‘신내지구 행복주택’ 209가구의 경우 SH공사가 시유지인 송영주차장 부지에 행복주택과 공영주차장을 복합 개발하는 형태다. 서울시의 한 관계자는 “서울은 개발제한구역을 해제할 만한 곳이 거의 없다 보니 도심 내 자투리땅을 효율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며 “저효율 토지의 가치를 높여 행복주택을 짓는 것”이라고 밝혔다. /권경원기자 nahere@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