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EPA연합뉴스
‘하나의 중국’ 정책의 폐기 가능성을 제기했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중국의 반발을 의식한 듯 한발 물러나는 모양새다. 중국 역시 불필요한 논란을 피하려 차기 행정부의 대중전략이 확고해지는 시점까지는 칼날을 감출 가능성이 높아졌다.
트럼프 당선인의 최측근인 라인스 프리버스 차기 백악관 비서실장 내정자는 18일(미국 현지시간) 폭스뉴스 선데이스와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당선인의 발언은) 하나의 중국 원칙을 우리가 재논의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 것이 아니다”라며 논란을 진화했다.
프리버스 내정자의 발언은 11일 트럼프 당선인이 방송 인터뷰에서 지난 1972년부터 지켜온 미국 정부의 하나의 중국 정책을 대중국 협상 카드로 활용할 수 있다는 뜻을 내비치며 논란이 확산되는 것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당시 트럼프는 “나는 하나의 중국 정책을 이해하지만 우리가 교역을 비롯한 문제에서 중국과 협상을 타결하지 못한다면 왜 이 원칙에 얽매여야 하는지 모르겠다”고 말한 바 있다.
중국은 트럼프 당선인의 발언 직후부터 지금까지 잇따라 강경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우선 왕이 외교부장의 입을 빌려 “하나의 중국 원칙을 무시하는 것은 제 발등을 찍는 일”이라며 트럼프에게 경고를 보냈으며 15일에는 중국 해군이 남중국해에서 기초정보를 수집하던 미군의 수중 드론을 나포했다. 19일에는 중국 인민해방국 공식 홈페이지 중국군망서 ‘드론을 나포당한 미국 보우디치함이 이름은 해양측량선이지만 실제로는 세계 각지에서 간첩활동을 해왔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럼에도 전문가들은 미중 간의 본격적인 파워게임은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가 될 것이라는 관측을 내놓았다. ‘전략적 평정(strategic composure)’을 취하다가 트럼프의 공식 취임 이후 강력한 보복에 나서는 것이 외교·실리적으로 효과가 높다는 판단에서다.
스인홍 인민대 교수는 이날 블룸버그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중국은 트럼프가 무엇을 지향하는지 면밀하게 주시하며 그가 (취임 이후) 추진해나갈 정책의 윤곽을 그리고 있다”며 이 같은 관망세는 미국 대통령 이취임식이 열리는 내년 1월20일 이후에도 수개월간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했다.
그러나 스 교수는 하나의 중국 원칙에 미국이 도전한다면 베이징이 단호하게 반격할 것이라는 점도 분명히 했다. 트럼프 차기 행정부가 대만이나 티베트·남중국해·동중국해 등을 비롯한 핵심 이익에 반할 경우 중국 정부는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주미 중국대사 소환 △미국과의 국제협력 중단 △교역전쟁 돌입 △외교관계 단절 등 단계적으로 맞대응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수민기자 noenemy@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