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국내서 킬러콘텐츠 찾는 엔터社, 금한령 뚫을 길 많다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한국 배치 결정에 대한 중국의 금한령(禁韓令)으로 위기에 내몰린 국내 엔터테인먼트 업계가 ‘탈(脫)중국’ 전략으로 새 활로를 찾고 있다. 서울경제신문에 따르면 국내 2위 엔터 업체인 YG는 최근 지상파 예능 프로듀서를 대거 영입했다. 금한령으로 중국 사업이 난관에 부닥치자 국내에서 콘텐츠를 직접 제작하기 위해서다. 이를 통해 중국으로 치중된 콘텐츠에 변화를 줘 수출지역 다변화를 꾀한다는 것이다.


최대 엔터사인 SM 역시 국내에서 역량 있는 신인 작가·PD를 발굴해 새로운 콘텐츠를 찾는 데 집중하고 있다. JYP나 FNC 등 다른 대형 엔터 업체도 중국 의존도에서 벗어나기 위해 국내 제작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고 한다. 그동안 국내 엔터 업계는 한류 바람에 편승해 중국 중심의 사업전략을 펼쳐왔다. 중국 자본·제작자와 손잡고 현지 취향에 맞는 콘텐츠를 만드는 데 공을 들여왔던 게 사실이다. 덕분에 중국 시장에서 승승장구하며 외형을 불릴 수 있었다.

하지만 과도한 중국 쏠림으로 인한 후유증과 한국 문화가 중국 자본에 종속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적지 않았는데 이제 현실로 드러나고 있다. 금한령의 여파로 중국 공연이 사실상 올스톱되면서 지난 1년 사이 SM·YG 등의 주가는 반토막이 났다. 더 큰 문제는 앞으로도 상황이 나아질 것 같지 않다는 점이다. 대다수 엔터사는 중국 정부의 공연허가가 나지 않아 계획조차 잡을 수 없는 상태다.

이는 중국만 바라본 국내 엔터 업계의 자업자득 측면이 강하다. 이제라도 중국 일변도에서 탈피하기 위한 작업에 적극 나서고 있으니 다행이다. 지금의 어려움은 되레 또 다른 기회가 될 수 있다. 케이블TV에서 인기리에 방영된 ‘꽃보다 할배’ 포맷이 미국에 수출돼 큰 인기를 끄는 등 탈중국의 성공 사례도 적지 않다. 세계에서 통할 킬러콘텐츠를 만든다면 ‘차이나리스크’는 충분히 헤쳐나갈 수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