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니시대 노조에 멈춰선 현대차<하>]"정부 긴급조정권 발동해야" 목소리

고객 피해·全산업 악재 우려
"노사 대립 중재 나서야" 지적

현대차(005380) 노사가 올해 임단협에서 접점을 못 찾으면서 정부가 중재에 나서라는 지적이 나온다. 노사 갈등의 피해가 고객과 협력사로 전가되고 전 산업에 악재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의 긴급조정권 발동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노조는 이날 3시간 부분파업하고 ‘17년 단체 교섭 승리를 위한 조합원 결의대회’를 열었다. 파업이 장기화하는 상황에서 조직을 재정비하기 위한 행사다. 노조는 사측에 대한 비판 수위를 높였다. 노조는 “사측이 노노 갈등을 유발, 집중된 시선을 빠져나가는 꼼수를 피운다”고 비판했다. 또 ‘파업 파괴 행위’나 ‘순환파업에 따른 간식 지급 중단’ 등 민감한 내용을 전면에 내세우고 대립각을 세웠다. 사측도 정부 행정지침에 따라 부품 부족으로 라인이 멈추면 무노동 무임금 원칙을 적용할 것을 재확인했다.

노사 갈등의 피해는 고객과 협력사가 뒤집어쓰고 있다. 올해 현대차에 접수된 고객 민원 1위는 출고 지연이다. ‘그랜저’와 ‘코나’, 제네시스 ‘G70’ 등 인기 차종의 주문이 밀린 상황에서 파업으로 피해는 더 커지고 있다.

노동계 일각에서는 정부가 긴급조정권을 검토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노사가 출구전략을 못 찾는 만큼 정부가 중재하라는 것. 정부는 네 차례(1969년 대한조선공사 파업, 1993년 현대차 노조 파업, 2005년 아시아나항공 조종사·대한항공 조종사 노조 파업) 긴급조정권을 꺼낸 바 있다. 노동계 관계자는 “현대차가 필수사업장은 아니지만 피해가 약자인 중소 협력사에 전가되고 현대차 파업이 금속노조 전체의 지침처럼 퍼져 산업계의 어려움이 커질 수 있어 정부가 안되는 것은 안된다고 강력하게 경고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문재인 정부가 친노동정책을 벌여온 점, 전국 단위 사용자 단체인 한국경영자총협회 역할을 축소 시키고 대한상공회의소가 노사 문제까지 챙기는 점 등을 고려했을 때 정부가 나서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강도원기자 theone@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