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국가들이 앞으로 10년 동안 자산 거품과 재정위기에 직면할 것이라는 경고가 세계 정·재계 리더들의 연례모임인 세계경제포럼(WEF·다보스포럼)에서 제기됐다. 리먼브러더스 파산 이후 10년째 이어진 통화 완화 처방이 정상화하기 시작하면 글로벌 금융위기 10주년에 유동성 후폭풍이 한국을 비롯한 신흥국들을 덮칠 수 있다는 것이다. 글로벌 중앙은행들도 지난 10년간 쌓인 불균형으로 인해 “뭔가가 터질 것 같다”는 위기의식을 공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23일(현지시간) 스위스 다보스에서 ‘분열된 세계에서 공조의 미래로’를 주제로 개막하는 WEF의 주요 참석자들은 올해 포럼에서 경제·사회 각 분야에 대해 어느 해보다 강도 높은 경고를 쏟아냈다. 특히 금융위기 극복 이후 글로벌 경제에 대한 장밋빛 전망을 잃지 않던 WEF의 어조가 눈에 띄게 어두워졌다. 400여개의 세션이 진행되는 올해 포럼에서는 특히 금융위기 발발 이후 10년 동안 누적된 과도한 유동성이 낳은 자산 버블과 금융 불균형에 대한 경고가 집중 제기될 것으로 전망된다. 값싼 차입이 우후죽순 늘어나 누적된 불균형이 언제고 터질 시점에 접어들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한국은행의 한 고위관계자는 “10년째 계속된 완화 처방이 정상화되기 시작하면서 글로벌 중앙은행 총재들은 ‘뭔가 터질 것 같다’는 공통된 걱정을 하고 있다”며 “선진국이 될 수도 있지만, 특히 제로금리로 돈값이 싸지면서 외자를 늘린 신흥국에서 터질 가능성도 있다”고 이 같은 우려에 동조했다. 포럼은 글로벌 자산 버블의 폐단이 금융 부문 자산이 33조달러로 연간 총생산의 3.1배에 달하는 중국 등에 집중될 수 있다며 유동성 후폭풍이 결국 신흥시장을 겨냥하게 될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포럼이 최근 발표한 2018년 글로벌 리스크 보고서는 동아시아가 올해부터 10년간 직면할 주요 문제로 재정위기와 자산 거품을 꼽으며 한국도 예외일 수 없음을 시사한 바 있다. /다보스=김희원기자 빈난새기자 heewk@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