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한국개발연구원(KDI)에 따르면 김민호 연구위원은 최근 KDI 포커스 92호를 통해 발표한 ‘제조업 신생기업의 성장동력 역할 감소와 시사점’ 보고서에서 이 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신생기업(종사자 10인 이상 제조업)의 사업체당 평균 생산성은 12년차 이상 기업보다 최근에 더 좋아졌지만, 이들 신생기업이 전체 제조업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는 비중은 줄었다.
1995~2004년 신생기업의 평균 생산성을 12년차 이상 기업과 비교하면 3년차 이내의 기업은 12년차 이상 기업 생산성의 98.1%, 4~6년차 기업은 99.7% 수준이었는데 2005~2013년에는 각각 101.3%, 101.5%로 높아졌다. 하지만 이들 신생기업이 제조업의 총 생산성 증가에 기여하는 비중을 나타내는 부가가치 비중은 최근에 더 낮아졌다. 1995~2004년에는 3년차 이내 기업이 5.6%, 4~6년차 기업은 9.2%였는데 2005~2013년은 각각 4.5%, 6.8%로 축소했다. 제조업 전체 부가가치 대비 개별 사업체의 총산출에 가중치로 적용한 가중평균 생산성을 보면 1995~2004년에는 3년차 이하 기업의 비중이 6.7%, 4~6년차 기업의 비중이 11.4%였는데 2005~2013년에는 각각 4.4%, 7.0%로 하락했다.
보고서는 신생기업의 평균 생산성이 높아졌음에도 제조업 총 생산성 향상을 위한 이들의 역할이 감소한 것은 신생기업의 비중 감소 때문이라고 풀이했다. 실제로 신생기업이 한국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년 사이에 급격히 줄었다. 신생기업의 사업체 수 비중은 1995년에 51%였는데 2014년에 28%로 확연히 낮아졌다.
보고서는 신생기업이 생산성 향상에 더 기여할 수 있게 하려면 창업 지원의 초점을 창업 이후 기업의 성장과 혁신 창출에 맞춰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 혁신기업 선정 기준을 정부 인증 중심에서 민간의 참여를 확대하는 방식으로 변경하고 사업의 성과를 엄밀하고 객관적으로 평가해야 한다고 밝혔다.
/세종=임진혁기자 liberal@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