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스타트 끊는 한국…'생생'해야 산다

■5G 상용화 D-4
이통사, 요금제부터 경쟁 치열
LTE 보다 속도 최대 20배 빨라
AR·VR 활용한 야구 중계 등
실감 콘텐츠 확보에 승부 달려
차별화·커버리지 확대는 숙제

하현회(왼쪽) LG유플러스 부회장이 지난 29일 서울 강서구 LG사이언스파크에서 열린 ‘U+5G 일등 출정식’에서 임직원, 전국 대리점 대표들과 함께 대붓 드로잉 퍼포먼스로 쓴 ‘U+5G 통신의 일등을 바꿉니다’ 글귀를 가리키고 있다. 하 부회장은 “5G(5세대 통신)는 유플러스가 통신의 역사를 바꿀 절호의 기회로 시장의 일등도 바꾸겠다”고 다짐했다./사진제공=LG유플러스

‘초(超)시대, 생활이 되다’(SKT(030200)), ‘당신의 초능력’(KT), ‘일상을 바꿉니다’(LGU+)

오는 4월 5일 세계 최초로 5세대 이동통신서비스(5G) 시대의 막이 오르면서 시장을 선점하려는 국내 이동통신사들의 경쟁이 치열하다. 서로 앞다퉈 요금제상품을 내놓으며 고객몰이에 나서는가 하면 차별화된 콘텐츠를 확보하기 위해 혈안이 돼 있다. 이로써 한국이 세계 최초로 5G 상용화의 테이프를 끊었지만 진정한 승자는 이제부터다. 정보통신기술(ICT)을 각종 산업분야와 접목해 기존에 볼 수 없었던 신세계를 펼칠 수 있느냐 여부가 5G시대의 성패를 좌우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요금제 완료…3사 모두 ‘1등’ 노려=대형 이통사들은 5G서비스 시장의 문을 열기 위한 요금 경쟁을 본격화했다. 선수를 친 곳은 LG유플러스(032640)였다. 이 회사는 지난 29일 세 가지 종류의 5G요금제를 내놓았다. 이들 요금제 상품은 월 5만5,000~9만5,000원을 납부시 9~250기가바이트(GB)용량의 데이터통신용량을 제공한다. 하현회 LG유플러스는 부회장은 이날 서울 강서구 LG사이언스파크에서 ‘U+5G 일등 출정식’을 열고 “5G(5세대 통신)는 유플러스가 통신의 역사를 바꿀 절호의 기회로 시장의 일등도 바꾸겠다”고 다짐했다. ‘5G’라는 새 판에서 만년 3위라는 꼬리표를 떼겠다는 의지다. KT 역시 이날 비슷한 수준의 요금제를 신고한 가운데 황창규 KT 회장은 직원들에게 보낸 최고경영자(CEO) 편지에서 “전 임직원이 판을 뒤집겠다는 각오로 압도적 5G 1등을 만들어 내자”고 주문했다. 국내 1위 이동통신사업자 SK텔레콤(017670)(SKT)은 최저 요금제 5만원대의 사용자 이용약관을 지난 29일 정부로부터 인가받았다. 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은 앞서 주주들에게 보낸 편지를 통해 “5G 경쟁력의 기본은 무선통신 사업의 경쟁력”이라며 “압도적인 1위 사업자로 거듭나겠다”고 각오를 다지기도 했다.

◇실감 콘텐츠 봇물…차별화는 숙제=5G 시대 개막으로 일반 고객이 가장 피부로 느낄 변화는 실감 콘텐츠들이다. 5G서비스는 기존 4G 롱텀에볼루션(LTE)서비스보다 최대 20배가량 빠른 속도를 자랑한다. 덕분에 고용량의 데이터를 끊김 없이 전송할 수 있어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콘텐츠 등을 제공하는 데 적합하다. 이통사들은 우선 AR과 VR 등을 활용해 스포츠 및 문화공연 중계 서비스를 보다 생동감 있게 전달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야구 중계가 승부처다. 마치 경기장 관람석에 앉은 것과 같은 시원한 영상을 제공할 뿐 아니라 다양한 각도에서 선수들의 투타 대결을 분석할 수 있는 첨단 서비스도 구현하려 하고 있다. 게임콘텐츠에서도 AR, VR을 활용하는 사례가 늘어날 전망이다.

다만 아직은 콘텐츠 개발 속도가 5G 출시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5G망이 전국에 동시다발적으로 깔리지 않고 초기에 주로 수도권과 주요 도심 등 일부 지역 중심으로 구축이 된 뒤 이후 점진적으로 확충되는 방식이라는 점도 변수로 꼽힌다. 현재와 같은 흐름이라면 2022년 정도에나 완벽한 5G망 구축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좋은 출발…결승점까지 리드해야=이처럼 숙제를 안고 출발하는 5G이지만 일단 안착만 한다면 상당한 경제적 파급효과를낼 것으로 기대된다. KT경제경영연구소는 2030년 5G의 사회경제적 가치가 48조원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정보통신기술(ICT)과 초연결을 통해 헬스케어나 자율주행 등 모빌리티, 스마트팩토리 등 산업 전반의 수준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최초가 항상 최고는 아니라는 점이다. 이를 위해 원격진료나 빅데이터 활용 등 신기술 적용을 위한 적극적인 규제 혁신과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고 업계는 입을 모은다.
/임진혁기자 liberal@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