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경제전문지인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지난 9일(현지시각) 경기도와 대한민국의 기본소득 소개하면서 이재명 경기도지사를 집중 조명했다.
WSJ는 이날 ‘경기부양을 위한 한국의 기본소득 실험(South Korea’s Universal Basic Income Experiment to Boost the Economy)‘이라는 제목의 6분 44초 분량의 동영상 기사를 통해 경기도의 기본소득과 지역화폐 정책, 최근 한국 내 기본소득의 정책방향과 국민 반응을 소개했다.
WSJ는 경기도에서 추진한 ‘경기도 청년기본소득’을 소개하고 청년 수혜자들의 인터뷰을 실었다. 또 코로나19에 대응해 경기도가 도민 1,300만명에게 지급한 ’ 재난기본소득‘을 지급한 사실을 소개했다.
또 경기도 정책을 통해 기본소득에 대한 중앙정부의 관심이 높아지고, 일부 정치권에서는 매월 430달러를 지급하자는 제안이 나오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한국에서 기본소득의 논의가 뜨거운 이유로 한국이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자동화가 이루어진데다가 오는 2024년까지 한국의 일자리 중 약 15%가 자동화될 것이라는 MIT(메사추세츠공과대학교) 공대의 분석이 있었다고 덧붙였다.
이번 WSJ의 보도는 이 지사, 대학생, 상인, 담당 공무원 등을 대상으로 기본소득 정책과 지역화폐 효과 등에 대해 앤드류 양(ANDREW YANG) 기자가 인터뷰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WSJ은 수산물을 취급하는 한 상인과의 인터뷰를 인용해 ‘지역화폐를 통해 평소 전통시장을 찾지 않는 젊은 세대가 시장을 찾고, 이를 통해 지역화폐 가맹점의 매출이 비가맹점 대비 45% 상승했다’는 내용을 소개했다.
WSJ은 이 지사의 기본소득과 지역화폐 정책 방향을 듣기 위해 지난달 18일 경기도청을 찾았다. 이날 이 지사의 인터뷰는 도지사 공관에서 진행됐다.
이 지사는 인터뷰에서 “기본소득과 지역화폐는 영세 자영업자들의 매출을 늘려주면서 특히 전통시장 같은 곳이 다시 부활하는 효과를 내고 있다”면서 “코로나19가 우리 사회가 앞으로 맞닥뜨리게 될 4차 산업혁명시대, 소위 노동의 종말 시대, 극단적 양극화의 시대를 아주 급작스럽게 앞당긴 측면이 있기 때문에 새로운 기회 요인이었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보편적 기본소득은 복지정책이 아니라 경제정책이기 때문에 국가의 경제정책에 따른 이익을 세금을 많이 내는 사람을 배제하는 것은 오히려 옳지 않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WSJ는 이 영상을 10일 WSJ저널 유튜브에 게시돼 3일만에 전 세계적으로 22만명 이상 시청한 것으로 확인된다. 이날 오전 8시 30분 기준으로 22만1,385 조회수 기록해 경기도 기본소득과 지역화폐에 대한 세계인들의 높은 관심을 엿볼 수 있다.
/윤종열기자 yjyun@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