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 상황이 크게 악화된 CJ CGV(079160)가 1조 원 규모의 유상증자 계획을 발표했지만 국내 사모펀드(PEF)에 추가로 돌려줘야 할 투자금만 500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GV는 이번 유증에 성공하더라도 조달한 대부분의 현금을 차입금 상환에 쓸 것으로 보여 사모펀드에 투자금을 돌려 주기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CGV가 재무 구조 개선을 위해 최근 자본시장을 찾는 모습이 반복되고 있지만 실제 눈에 띄는 경영 개선책을 보여주지 못한다는 지적이다.
23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CJ(001040) CGV는 2019년 홍콩 소재 자회사 CGI홀딩스를 통해 미래에셋증권PE·MBK파트너스로부터 총 3330억 원을 투자 받으면서 2023년까지 홍콩 증시에 CGI홀딩스를 상장하는 조건을 내걸었다. 이 조건을 지키지 못하면 원금에 이자를 더해 돌려주기로 계약했는데 CGI홀딩스는 상장이 불발된 채 투자 만기가 이달 19일 종료됐다.
CGV는 2016년 터키 법인을 통해 또다른 사모펀드 IMM프라이빗에쿼티(PE)로부터 1000억 원을 투자 받기도 했다. CGV 측은 이 때도 터키 법인의 상장 조건을 걸었다. 실패할 경우 2019년까지 투자 원리금을 돌려주기로 계약했지만 이 약속 역시 지키지 못했다. IB 업계 관계자는 "CGV가 3개 사모펀드에 돌려줘야 할 투자 원금만 4300억 원이 넘고 현재까지 불어난 이자까지 포함하면 5000억 원에 육박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CGV는 지난 20일 총 5700억 원 규모의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올 9월 중 실시하겠다고 발표했다. 최대주주인 CJ(48.50%)가 600억 원을 투입하고 나머지는 주주에 배정한 후 실권주가 나오면 일반 공모하겠다는 계획이다. 또 CJ는 현재 보유한 CJ올리브네트웍스 주식 100%(평가액 4500억 원)를 현물 출자하면서 전체 자본 확충 규모가 1조 원을 넘어설 것이라고 밝혔다.
투자 업계 전문가들은 CGV가 유증에 성공하더라도 사모펀드에 약속했던 원리금은 당분간 상환하기 힘들 것으로 보고 있다. 올 1분기 말 기준 CGV가 보유한 사채 및 차입금만 7534억 원에 달하기 때문이다. 이 중 1년 내 갚아야 할 단기 차입금 규모는 3380억 원이다. 회사는 지난해 2145억 원의 당기순손실을 내며 3년 연속 적자를 기록해 자체 수익으로 채무를 상환하기 벅찬 구조다.
이에 대해 CGV 관계자는 "이번 유상증자는 일부 채무를 상환하고 극장의 미래를 제시하는 미래 공간 사업자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라며 "사모펀드 측과 원만히 협의해 추후 투자금의 상환 방법을 찾겠다"고 말했다.
업계에선 그간 CGV가 어려울 때마다 시장에서 자본을 조달해 급한불을 껐지만 이후에도 악화된 경영 상황을 타파하지 못한 데 대해 부정적 평가가 있다. 코스피 상장사인 CGV는 팬데믹 여파에 실적이 급전직하한 뒤부터 유상증자와 전환사채(CB) 발행 등을 통해 총 1조 원에 달하는 자금을 조달한 바 있다. 2020년 7월 유증 2200억 원, 2021년 5월 CB 발행 3000억 원, 2022년 7월 CB 발행 4000억 원 등을 단행한 것이다.
이번에 계획된 유상증자에는 더 날카로운 비판의 목소리가 나온다. 전체 유증 규모가 발표 당시 시총(약 6920억 원)에 육박한데다 신주 발행가액도 주가(1만4500원)의 절반 수준인 7630원으로 결정되자 주주들 사이에서 강한 불만이 터져 나오는 것이다. 실제 유증 발표 이후 주가는 이틀 간 30% 가까이 하락했다.
전문가들은 CGV가 향후 극장 업황이 개선되기 힘든 상황까지 인식하면서 아예 새 판을 짜야 한다고 보고 있다. 그러면서 극장 시설을 활용해 새로운 공간사업자로 거듭나겠다는 회사 측 계획이 유증 성공을 위한 일시적인 발표에 그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컨설팅 업계의 한 관계자는 "넷플릭스 공세 등으로 업황이 악화되는데도 재무적으로만 상황을 타파하려 했을 뿐 이렇다 할 사업의 전환책이 보이지 않던 것이 문제"라면서 “어려울 때 시장에 손을 벌리는 모습이 반복됐지만 파트너사엔 상환 약속을 지키지 못하면서 회사의 신뢰도가 하락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