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통신사들이 통신사업의 기반이 되는 ‘주파수 대역’을 차지하기 위한 경쟁을 치열하게 벌이고 있다. 1위 통신사인 SK텔레콤은 새로운 5세대 이동통신(5G) 주파수 대역의 매수를 추진 중이다. 매수금액만 2000억 원 안팎으로 예상된다. SK텔레콤은 2018년 처음 5G 주파수 대역을 할당받을 때부터 주변 확장에 유리한 ‘사통팔달(四通八達) 입지’를 선점하는 데만 2500억 원을 쏟아부었을 정도로 해당 대역에 눈독을 들여왔다. 그런가 하면 중소기업들까지도 제4이통사를 꿈꾸며 주파수 할당 경매에서 2000억 원에 육박하는 호가를 부른 상황이다.
30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새로운 주파수 공급 계획인 ‘디지털 스펙트럼 플랜’을 31일 발표한다. 과기정통부는 구체적인 내용을 공개하지 않았지만 업계는 SK텔레콤이 2년 전 할당을 요청한 3.7~3.72㎓(기가헤르츠) 대역 20㎒(메가헤르츠)폭을 포함해 총 3.7~4.0㎓ 대역 300㎒폭의 공급 계획이 나올 것으로 내다본다. 300㎒폭이 한꺼번에 매물로 나올 가능성도 있다.
SK텔레콤이 3.7~3.72㎓ 대역을 할당받으면 이와 인접한 기존 주파수 대역과 합쳐 총 120㎒폭의 5G 주파수 대역을 차지하게 된다. 대역폭은 데이터가 오가는 도로의 폭으로 비유되는 만큼 경쟁사보다 더 빠른 통신 서비스 구현이 가능해진다. 전례를 참고하면 SK텔레콤이 이 같은 도로 확장에 2000억 원에 달하는 지출도 마다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2년 전 LG유플러스는 비슷한 20㎒폭을 1521억 원에 사들였다. 롱텀에볼루션(LTE) 시대가 꽃폈던 2011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면 KT가 SK텔레콤의 주파수 대역과 인접한 800㎒ 대역 10㎒폭을 2610억 원이나 들여 사놓고 관련 투자를 하지 않아 단지 경쟁사를 방해하려는 게 아니냐는 ‘알박기 논란’을 부른 일도 있었다. 결국 해당 주파수 대역은 2020년 정부가 회수해갔다.
제4이통사 전용 주파수인 28㎓, 정확히는 26.5~27.3㎓ 대역 800㎒폭을 가져가기 위한 경쟁도 예상과 달리 치열하게 전개되는 양상이다. 두 후보 업체인 스테이지엑스와 마이모바일은 전날까지 진행된 주파수 할당 경매를 통해 입찰가를 1955억 원까지 올렸다. 최저 입찰가였던 742억 원을 크게 웃도는 것은 물론 2018년 통신 3사가 각자 이 주파수 대역에 쓴 2070억 원과 맞먹는다. 이미 입찰가가 한계에 다다른 것으로 볼 수 있어 31일 승부가 가려질 가능성이 점쳐진다. 윤호상 마이모바일 대표도 서울경제신문에 "기존 통신사가 할당받은 가격보다 높진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승자는 주파수 할당 대가에 더해 6000대 이상의 기지국 구축과 망 공동이용(로밍) 대가 등을 합쳐 수천억 원에서 많게는 조(兆) 단위의 비용 부담이 불가피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