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임시직'에 치우친 노인 일자리

75세 이상 근로 23%가 복지분야
1년새 5%P↑…고용의 질 떨어져

지난해 11일 경기도 수원시 화성행궁 광장에서 열린 '수원시 노인 일자리 채용한마당'에서 어르신이 채용 정보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60세 이상 고령층에 대한 고용이 정부의 공공일자리를 중심으로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 같은 고용은 임시 근로가 상당수여서 ‘고용의 질’이 떨어진다는 우려가 나온다. 청년의 경우 일자리가 4개 분기 연속 줄고 있어 고용 창출의 확대 필요성이 제기된다.


21일 서울경제신문이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60세 이상 취업자 중 보건·사회복지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비중은 12.8%로 집계됐다.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보건·사회복지가 고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확대되는 모습이다. 전 연령대 중 65~69세의 경우 보건·사회복지 서비스업 종사자의 점유율이 10.9% 수준이었다. 70~74세에서는 이 비중이 16.6%로 상승했고 75세 이상은 22.9%에 달했다.





60세 이상 전반에서 보건·사회복지 일자리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진 것도 주목할 대목이다. 65~69세의 경우 보건·사회복지 취업자 비중이 1%포인트 확대됐으며 70~74세(3.2%포인트)와 75세 이상(5.0%포인트)에서도 이 비율이 늘어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노인 고용이 돌봄 서비스와 정부의 직접 일자리를 중심으로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 관계자는 “고령화로 돌봄 수요가 커진 영향으로 보인다”며 “전년보다 정부 직접 일자리가 10만 개가량 늘어난 것도 보건·사회복지 비중 확대로 이어졌다”고 해석했다.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분야에서도 노년층의 고용 증가세가 두드러진다. 지난달 70~74세 전체 고용 중 이 직종이 차지하는 비중은 3.5%로 1년 전(2.7%)보다 0.8%포인트 늘었다. 75세 이상에서는 이 비중이 같은 기간 7.6%에서 8.5%로 0.9%포인트 높아졌다.


고령층의 이 같은 고용 확대에도 고용의 질이 낮고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점은 여전히 문제로 지적된다. 지난달 기준 보건·사회복지 분야 60세 이상 취업자 중 임시 근로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53.5%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70~74세의 경우 69.6%가, 75세 이상에서는 94.5%가 임시 근로직이었다.


젊은 층의 경우에는 일자리 확대가 시급한 과제로 확인됐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60세 이상의 임금 근로 일자리는 재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26만 9000개(8.3%) 증가했다. 반면 20대 이하 일자리는 8만 개(2.5%) 줄어 4개 분기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노동시장의 ‘허리층’으로 꼽히는 40대 일자리도 4000개(0.1%) 줄어 2019년 2분기 이후 4년여 만에 처음으로 감소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