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TUNE KOREA 500] 포춘코리아 500 선정 작업을 마치며

포춘코리아 500 선정 작업을 마치며
김병도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장 겸 경영전문대학원장

포춘코리아 500은 외부감사를 받아야 하는 국내 모든 주식회사의 순위를 종합적으로 선정하기 위해 2009년부터 시작되었다. 포춘코리아 500은 지난 1년 동안의 실적을 바탕으로 국내기업들의 순위를 선정하고, 우량 기업을 파악해 실적의 변동 내역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대표 기업에 대한 종합적인 시각을 제공하는 기업 평가보고서라고 할 수 있다. 서울대학교 경영연구소와 포춘코리아는 한국적인 특성을 고려하되 기업의 경제적 실체를 잘 파악할 수 있는 지표들을 이용해 객관적인 순위를 산정하고자 했다.

포춘코리아 500은 기본적으로 연결재무제표상의 매출액(금융업의 경우 영업수익)을 기준으로 기업들의 순위를 산정하였다. 연결재무제표는 지배와 종속 관계에 있는 개별 회사들을 하나의 경제적 실체로 간주하여 만든 연결재무제표이기 때문에 국내 종속회사에 대한 현황까지 종합하여 보여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운 해외 종속회사의 실적도 연결재무제표에 포함되어 공시된다. 때문에 자회사의 재무상태 및 경영성과가 반영되지 않는 별도재무제표에 비해 한국대표 기업의 경제적 실체를 보다 명확하게 전달하게 된다.

2011년부터 국내에 전면 도입된 국제회계기준(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IFRS)은 연결재무제표를 기본 재무제표로 사용한다는 점에서 포춘코리아 500의 연결재무제표 활용은 매우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국제회계기준에서는 단순 지분율 기준이 아닌 경제적 실질지배 기준에 따라 지배와 종속 관계가 결정되고, 연결재무제표 또한 이에 기초하여 작성되기 때문에 포춘코리아 500이 제공하는 정보의 유용성은 더욱 증가한다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국제회계기준을 도입한 다른 국가들의 회계 정보 비교 가능성 또한 더 높였다고 할 수 있다.

지배종속 관계가 존재해 연결재무제표를 사용하는 경우, 원칙적으로 연결지배회사만을 순위 산정에 포함시키는 것이 합리적이다. 연결종속회사의 실적은 연결지배회사의 재무제표에 상당 부분 반영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포춘코리아 500’의 순위를 산정할 땐 연결종속회사가 상장기업인 경우 다수의 이해관계자가 있음을 고려해 연결종속회사도 순위 산정에 포함시켰다. 국내 다수의 기업 집단이 순환 출자 및 개인 대주주의 지분 보유 형태로 지배 구조를 유지하고 있다는 현실을 감안할 때, 종속기업이라는 이유만으로 자회사를 순위에서 제거하는 것은 적절치 못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올해 포춘코리아 500 선정 과정에서 특이했던 점은 연결 범위에 대한 기업회계기준(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제1110호 연결재무제표)이 개정되면서 많은 기업들의 연결 범위가 바뀌었고, 이에 따라 순위가 많이 변했다는 점이다. 새로운 기업회계기준에 따르면 자회사의 지분율이 50%가 넘는지에 따라 연결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2012년까지의 과거 의결권 행사 전례를 참고해 과반수 의결권을 행사해 왔다면 연결범위에 포함해야 한다. 금융업종의 결산월 변경도 특이할 만한 점이라 할 수 있다.

2013년 포춘코리아 500에 선정된 금융투자회사 중에서는 삼성생명보험 등을 포함한 36개 금융회사들이 결산월을 12월로 변경함에 따라 9개월치의 실적만이 리스트에 반영되었다. 2013년 동안 국내 기업들이 외형적으로 큰 성장을 거두지 못한 점은 아쉬웠지만, 포춘코리아 500에 선정된 기업을 포함한 모든 국내 기업들이 그려낼 한국 경제는 계속해서 발전할 것이라 기대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