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크래프트를 개발한 미국 블라자드사는 모두 300만장을 판매했다. 따라서 세계 판매량의 3분의 1이 한국에서 팔린 셈이다. 스타크래프트 패키지 가격은 3만3,000원. 단순 판매로만 스타크래프트는 국내에서 330억원의 시장을 형성했다. 스타크래프트는 국내 게임산업은 물론, 관련 업계에 엄청난 영향을 미쳤다는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파급효과
스타크래프트는 국내에 PC방 열풍을 몰고 왔다. 스타크래프트 출시 당시 500여개에 불과했던 PC방은 현재 전국에서 1만3,000여개가 성업중이다. PC방을 수시로 이용하는 고정 고객만 젊은층을 중심으로 500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PC방이 이처럼 늘어난 데는 스타크래프트의 기여도가 절대적이었다.
PC방이 등장한 것과 비슷한 시기에 스타크래프트가 급속히 젊은 층에 파고들면서 「스타크-PC방」은 패키지로 동반 성장하는 시너지효과를 낳았다.
PC방은 스타크 덕분에 조기에 자리잡으면서 초기의 「게임방」을 넘어서 요즘에는 「정보화의 첨병」으로 바뀌어가고 있다. 게임 등 각종 SW 소비시장의 역할 뿐 아니라 인터넷 확산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는 평가다.
스타크는 게임을 돈주고 사는 정품의식 확산에도 기여했다. 이로 인해 게임도 「돈되는 사업」이라는 인식을 심어줬다. 국내에 게임SW 개발 열풍도 몰고 왔다. 국산 게임프로그램인 「리니지」가 게임순위 10위권을 유지하고 있고, 국산 게임시장만도 400억원대로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남은 과제 스타크래프트는 잘만 만들면 국산게임도 대성공을 거둘수 있다는 선례를 남겼다. 국산 제품중에도 스타크래프트와 같은 히트작을 만들어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이를 위해서는 중소 벤처기업 위주로 진행되고 있는 게임 개발에 정부와 대기업이 적극 참여해야 할 것으로 요청되고 있다. 문화관광부가 게임지원센터를 설립하고 500억원을 지원하고 나섰지만 아직 정부기관의 체계적인 지원은 부족하다는 평가다.
모 피자회사가 판촉 이벤트로 스타크래프트대회를 열고 있다. 스타크는 국내에 선보인지 1년6개월만에 100만개가 팔리는 대기록을 남겼다.
문병도기자DO@SED.CO.KR
김창익기자WINDOW@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