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지 표시로 소비자 신뢰 확 높여

[아이디어 반짝 장터가 활짝] <3> 정부비축물로 위기 돌파-평택송북시장
시중가 80~90%대로 공급
다양한 체험프로그램 개발
대형마트와 차별화 꾀해


평택송북시장에서 주말을 맞아 정부비축물로 받은 깐마늘을 할인해서 파는 행사를 펼치고 있다. /사진제공=평택송북시장

"송북시장처럼 성공적으로 정착하는 중소형 전통시장이 많이 나와야 작은 재래시장도 희망을 품을 수 있습니다"

1일 경기 평택의 평택송북시장에서 만난 김서현 상인회 사무장은 최근 송북시장의 발전상을 소개하며 이렇게 강조했다. 대형전통시장 외에 150여개 점포 규모의 송북시장같은 중소형 시장도 함께 공생할 수 있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

송북시장은 특히 지난해부터 정부비축물 공급사업에 참여, 고객 수를 늘리는 데 성공했다. 정부비축물 공급사업이란 서민 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해 중소기업청과 시장경영진흥원이 정부에 쌓아둔 농수산물을 전통시장에 저렴한 가격에 제공하는 것. 농수산물을 보통 시중가격의 80~90% 수준으로 제공한다. 지난 4월 시범 공급을 시작으로 추석 직전인 9월, 김장철인 11월 각각 비축물이 투입됐다. 송북시장의 경우 시범공급 때부터 참여해 9월과 11월에도 각각 2번씩 총 5번이나 이 사업에 참여했다. 품목은 주로 냉동고등어, 깐마늘, 배추 등이었다.

시중가보다 싼 가격의 농수산물이 들어오면서 시장을 찾는 고객 수도 늘었다. 특히 정부비축물의 경우 생산지 표시가 정확하다 보니 소비자들의 신뢰도 높아졌다는 후문이다. 김 사무장은 "정부비축물 덕분에 도매가격도 떨어지고 신뢰가 높아지니 현재 공급을 받은 9개 점포 외에도 이를 공급받겠다고 신청하는 점포가 속속 생기고 있다"며 "내년에는 콩 등 곡물류까지 공급받는 것을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해 볼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전통시장은 대형 마트와 달리 고객들이 소량이라도 품질을 믿을 수 있는 것을 선호하기 때문에 효과가 더 높았다"고 덧붙였다.

송북시장은 한국전쟁 이후 이곳에 미군기지가 들어서면서 생겨난 전통시장이다. 소매시장인 인근 평택국제중앙시장이 '저녁시장'으로 불렸다면 이곳은 도매시장으로 출발하면서 '아침시장'으로 불렸다. 과거에는 전국 각지에서 건너온 물품이 몰리며 번성하기도 했다.

하지만 최근 평택에도 기업형슈퍼마켓(SSM)이 곳곳에 들어서면서 위기를 맞았다. 특히 공산품의 경우는 더 이상 대형 마트와의 경쟁이 어려운 지경에 이르렀다. 한때 도매전문시장이었던 송북시장은 현재 소매판매도 병행하고 있다. 시장에서 정육점을 운영하는 김민구 송북시장 상인회장은 "최근 SSM이 많이 생기면서 평택송북시장도 위기를 피할 수 없게 됐다"며 "특히 공산품 판매는 전통시장이 크게 불리해 앞으로는 신선한 농산물로 승부를 볼 수 밖에 없게 됐다"고 말했다.

송북시장은 앞으로 백화점 문화센터처럼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 등을 개발해 시장을 발전시켜나갈 계획이다. 이를 통해 성공한 전통시장으로 자리잡아 다른 소형전통시장의 좋은 본보기가 되겠다는 복안이다. 김 사무장은 "올해 시장의 목표를 '고객이 행복한 시장 만들기'로 정했다"며 "특히 학생들이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여럿 개발해 대형 마트와 차별화를 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송북시장 상인들 사이에서는 전통시장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전환 요구와 상인들 스스로의 자구 노력 추진에 대한 목소리도 나왔다. 시장에서 그릇가게를 운영하는 한 상인은 "시장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정부의 도움도 필요하지만 상인들 스스로 소비자의 입맛에 맞는 판매기법을 발달시키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회장은 "마트와 시장에서 똑같은 정부비축물을 팔아도 소비자들은 마트에서는 정가에 사고 시장에서는 값을 깎으려 하니 안타깝다"며 "평택송북시장은 다른 대형마트처럼 기부 등 나눔행사도 활발히 펼치고 있으니 관심을 많이 가져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