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업사장은 예외인가

그러나 구조조정 실적이 공기업별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는 점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같은 공기업인데도 개혁의 진척여부가 너무 다르다는 점이다. 이번 경영진단은 지난 1년간 얼마나 경영실적을 향상시켰는가에 초점을 맞춘 것이 아니다. 업종의 호불황여부, 기업특유의 조직문화 등에 따라 경영실적은 얼마든지 차이가 날 수 있다. 그런 차이를 문제삼을 것까지는 없다고 본다.하지만 구조조정을 제대로 하지 않았다면 그냥 넘길 일이 아니다. 민간기업들의 구조조정노력과는 분위기가 너무 다르기 때문이다. 대기업의 구조조정은 최근 본궤도에 오르고 있다. 반도체빅딜협상이 마침내 타결됐고 알짜기업을 매각하겠다는 대기업들의 발표가 이어지고 있다. 그럼에도 일부 공기업은 아직도 개혁무풍지대나 다름없다. 이유는 많을 것이다. 그러나 가장 큰 요인은 경영진의 개혁의지부족과 능력부족이라고 본다. 업종 및 조직의 특성상 예외가 있다고 하더라도 경고를 받을 정도라면 경영자질은 이미 판가름났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당국은 문제된 공기업의 사장해임 건의는 유보했다고 한다. 부실경영책임은 반드시 묻겠다는 당초의 서슬퍼른 기세는 온데간데 없다. 6월말까지 한번 더 기회를 주겠다는 방침은 궁색한 변명의 인상을 준다. 사장을 교체할 경우 조직을 흔들어 혁신이 더 지체될 수 있다고 주장하지만 정치권의 입김과 조직 내부의 반발을 의식한 것이 더 큰 이유라는 의혹을 사고 있다. 사실이 그렇다면 문제는 더 심각하다. 금융기관과 기업의 경우 부실경영의 책임을 지고 경영진이 퇴진하는 경우가 수없이 많다. 급기야 대한항공의 경우 오너경영인이 경영일선에서 물러나기도 했다. 이번에 경고조치를 받은 공기업의 경우는 이들 기업보다 사안이 경미하다고 주장할지 모르나 공기업일수록 잣대는 더 엄격해야 마땅하다. 정치권과 가깝다거나 노조 등 내부에서 반발한다고 책임을 제대로 묻지않으면 공기업개혁은 실패로 끝날 수 밖에 없다. 공기업도 이제는 전문경영인체제가 확립돼야 한다. 공기업이 구조조정에 모범을 보여야 개혁은 성공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