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 일찍온다

온난화 영향… 한반도 봄 시작일 10년마다 2.6일씩 빨라져

우리나라에서 봄이 시작하는 날짜가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10년마다 2.6일씩 빨라져 지난 37년간 10일가량 봄이 앞당겨진 것으로 분석됐다. 흔히들 개나리나 진달래꽃이 피면 봄이 왔다고 여기지만 기상학적으로 봄이 시작하는 날은 '일평균기온이 5도 이상으로 올라가 다시 떨어지지 않는 날'이다.

1일 기상청에 따르면 권재일 기상청 예보국 연구원과 최영은 건국대 지리학과 교수는 이 같은 내용의 논문 '앙상블 경험적 모드 분해법을 이용한 우리나라 봄 시작일에 관한 연구'를 대한지리학회지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1974부터 2011년까지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43개 지점의 일평균기온 자료를 토대로 '봄 시작일'을 분석했다.

연구기간에 우리나라의 평균 봄 시작일은 3월 11일이었다. 봄의 시작이 가장 빨랐던 해는 2009년으로, 2월 27일에 봄이 왔다. 가장 늦었던 해는 1996년으로, 2009년보다 22일이나 늦은 3월 21일이 돼서야 봄이 시작됐다.

지역별로는 위도와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해안에서 내륙으로 갈수록 봄의 시작이 늦었다. 부산, 울산, 통영 등 남해안은 2월 하순이었고 나머지 대부분 지점은 3월 이후였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